앵커: 미국의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새해 국정연설에서 북한을 전혀 언급하지 않아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오바마 행정부가 일단 북한 문제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지 않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오바마 대통령은 20일 국정연설에서 이란과의 핵협상 진전, 쿠바와의 관계 개선을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북한에 대한 언급은 전혀 없었습니다.
지난해 소니 영화사 사이버 공격의 배후로 북한을 지목하고 새해 벽두부터 대북제재 행정명령을 내렸던 오바마 대통령이었지만 이번 연설에선 전반적인 사이버 안보 강화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수준이었습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오바마 행정부의 대외정책에서 북한 문제가 후순위로 밀려 있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습니다.
신미국안보센터(CNAS)의 패트릭 크로닌 선임연구원의 말입니다.
크로닌 선임연구원:북한 측 입장에선 미국이 북한 문제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지 않다는 의미로 받아들였을 겁니다.
크로닌 연구원은 오바마 행정부가 비핵화 문제에서 북한보다 이란과의 핵협상을 중시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북한이 6자회담 같은 비핵화 협상에 복귀할 순 있지만 현재 오바마 행정부는 적극적으로 대북협상에 나설 의지가 없으며 이는 최근 국무부가 북한의 조건부 핵실험 중단 제안을 ‘협박’이라며 단칼에 거절한 것에서도 잘 알 수 있다는 게 그의 설명입니다.
하지만 일각에선 오바마 대통령이 국정연설에서 특별히 북한을 거론하며 비난하지 않은 것은 향후 대북협상에 대한 여지를 남겨두기 위한 의도란 분석도 내놓고 있습니다.
미국 터프츠(Tufts)대학의 이성윤 박사의 말입니다.
이성윤 박사: 오바마 대통령은 내심으로 남은 임기 2년 안에 북한과도 대화를 했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고 추측합니다. 그런 상황에서 북한을 지목해 비난한다면 대화 가능성을 낮추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이성윤 박사도 북한 문제가 오바마 행정부의 외교 정책 우선순위에서 밀려나 있다는 점에 동의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그 배경은 북한 문제가 임기 내에 쉽게 풀기 어렵다는 점, 따라서 차기 선거나 자신의 업적 차원에서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