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의 고려링크 최대주주인 이집트 통신회사 오라스콤이 미국의 대북제재를 위반했다는 보도와 관련, 미국정부가 이를 즉각 조사해야 한다고 미국의 한반도 전문가들이 주장했습니다. 정아름 기자가 보도합니다.
오라스콤이 미국 정부의 제재명단에 있는 기관과 합작으로 금융회사를 운영하고 있으며, 오라스콤의 소유주인 나기위 사위리스 회장의 측근이 미국 국방부 하청업체를 운영하고 있다는 의혹이 짙다고 영국의 한 인터넷 언론이 지난 3일 보도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이 문제와 관련해 브루스 클링너 헤리티지 재단의 선임 연구원은 4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이번 보도는 대북 제재와 관련해 미국 정부가 밝혀내지 못한 점에 대해 외국 언론이 이 같은 의혹을 제기한 것이라면서, 미국 행정부가 미국의 대북 제재에 대해 완벽히 이행하는 데 실패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특히, 미국 재무부와 국무부 등 정부기관들이 즉각적이고 철저히 의혹에 대한 조사에 착수해 사위리스 회장이 미국 대북 제재를 위반했는지 여부를 밝혀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클링너 : (이번 의혹 보도는) 오마바 행정부가 대북 제재 이행에 소극적이었음을 보여줍니다.
클링너 연구원은 또 최근 미국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기존 대북 제재가 강화된다면 ‘자발적’이 아니라 ‘의무적’ 이 될 사항들이 많다는 점은 희망적이지만, 결국은 해당 국가들과 기업들의 이행 의지가 관건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마커스 놀란드 피터스 국제경제연구소 소장도 4일 홈페이지에 낸 기고문을 통해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WMD) 개발에 돈줄이 됐다고 판단될 수 있는 이번 사건을 미국 정부가 철저히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