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파나마 북 선박 조사’ 적극 협조키로

0:00 / 0:00

앵커: 미국 정부는 미사일 부품을 실은 것으로 알려진 북한 선박 조사와 관련해 파나마 정부를 적극 돕겠다고 밝혔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미국 국무부의 마리 하프 부대변인은 17일 정례기자설명회에서 파나마 정부가 북한 선박 조사와 관련해 협조를 요청했다면서 미국 정부는 이에 적극 응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마리 하프 부대변인: 파나마 정부가 미국 측에 도움을 요청했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도울지는 밝힐 수 없지만 최선을 다해 협조할 방침입니다.

미국의 무기 전문가 등을 보내 기술적 측면에서 북한 선박에 실린 화물의 실체를 밝히고 이번 북한 선박이 소형화기를 제외하곤 무기 이송을 금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내용을 위반했는지 여부를 가릴 것이란 설명입니다.

하프 부대변인은 또 이번 북한 선박 적발과 관련해 쿠바 정부와도 곧 논의할 방침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미국 백악관의 제이 카니 대변인도 이날 기자들과 만나 현재 북한 선박에 정확히 어떤 화물이 실려 있는지 조사 중이라면서 만일 적재된 화물이 유엔 결의 위반으로 밝혀지면 관련 절차에 따라 제재가 가해질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호세 하울 물리노 파나마 안보장관은 17일 이 선박에서 무기가 있을 것으로 의심되는 컨테이너 두 개를 추가로 발견했다면서 선적된 화물을 정확히 조사하기 위해 유엔의 기술팀과 미국, 영국 전문가들을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쿠바 외교부는 지난 16일 쿠바를 출발해 북한으로 가던 북한 선박 청천강호에 240톤의 ‘낡은 방어 무기’가 실려 있었다면서 이 화물에 대한 소유권은 쿠바에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북한 외무성도 17일 파나마 정부에 대해 억류 중인 자국 선박 청천강호가 마약 운반과는 전혀 관련이 없다면서 즉시 출항시키라고 요구했습니다.

그러면서 그 선박에 선적된 화물은 합법적인 계약에 따라 수리한 후 다시 쿠바에 되돌려주게 되어 있는 ‘낡은 무기들’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한편 북한 선박이 무기를 선적하고 이동하다 외국에서 적발된 사례는 과거에도 수차례 있었습니다.

2009년과 2011년 북한 선박이 무기를 싣고 미얀마로 향하다가 미국 해군의 집요한 추적을 받은 뒤 결국 북한으로 되돌아갔고 지난해에는 북한산으로 보이는 미사일 부품이 시리아로 운송되던 중 중간 기착지인 부산항에서 한국 당국에 적발되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