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남측 통일부가 "남북관계의 안정적 관리를 위해 판문점 대화 통로가 열려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남북관계 개선에 대한 기대감 때문인지 남측 민간 단체들의 북한 주민 접촉 신청이 계속 늘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남측 정부가 판문점 연락사무소 정상화를 통해 남북관계 개선을 희망하고 있습니다.
남측 통일부는 17일 오전 정례기자회견에서 “통일부 차원에서도 남북 대화 복원을 위한 구상을 해왔다”며 “통일부 연락관이 매일 출근해서 북측에 연락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덕행 통일부 대변인: 정부 입장에서는 남북 대화뿐만 아니고 남북 간의 안정적 관리를 위해서 남북 간 대화 채널이 열려야 된다는 것이 기본적인 생각입니다.
이 대변인은 “연락관 대화 통로(채널)는 현재 기술적으로 문제가 없다”며 “북측의 호응만 있으면 언제든 복원이 가능하다”고 말했습니다.
이 대변인은 이어 “정부가 그동안 내부적인 검토를 해왔지만 어떤 특정한 사항을 염두해 두고 추진한 것은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판문점 연락사무소는 지난해 2월 북한의 핵·미사일 실험 강행에 따른 개성공업지구 운영 중단조치 이후 1년 3개월째 개점 휴업 상태입니다.
이런 가운데 최근 들어 다수의 민간 단체들이 통일부에 북한 주민 접촉 신청을 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인도적 지원사업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덕행 통일부 대변인: 남북관계 개선에 대한 기대가 반영된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남측의 문재인 정부는 남북교류 재개의 전제조건으로 북핵 폐기 협상을 내걸었습니다.
그러나 정치색이 없는 대북 인도적 지원사업이나 체육 교류는 북핵 문제와 관계없이 가능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