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의 존 케리 국무장관은 북한의 향후 행보에 따라 대북 제재가 더 강화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북한이 진정한 핵폐기 협상에 나선다면 미국은 평화체제와 불가침협정 등 북한이 원하는 논의에 나설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G7, 즉 미국, 독일, 영국 등 세계 주요 7개국 외무장관 회의 참석차 일본 히로시마를 방문한 케리 장관은 11일 기자회견에 나서 북한의 향후 행동에 따라 대북압박이 강화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케리 장관은 중국도 강력한 유엔 대북제재 결의에 찬성한 후 이를 이행하고 있고 미국도 한국에 사드(THAAD), 즉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를 논의 중이라면서 현재 강력한 대북 압박에 나서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아직 이행 초기인 국제사회의 새 대북제재가 앞으로 북한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하지만 북한이 진정성을 가지고 비핵화 협상에 나선다면 미국은 한반도 평화체제 문제를 논의할 준비가 돼 있다고 케리 장관은 거듭 밝혔습니다.
케리 장관은 북한이 원하는 (미북) 불가침조약도 논의할 준비가 돼 있다면서 그 외에도 대북 경제지원, 또 북한의 국제사회 복귀 환영, 장기적인 북한의 개발 지원에도 나설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습니다.
(We have made it clear that we are prepared to negotiate a peace treaty on the peninsula. We are prepared to negotiate a non-aggression agreement. We are prepared to actually provide economic assistance and welcome the North back to the community of nations.)
그는 거듭 이 모든 것들은 북한이 핵포기 결단을 내리고 진정으로 비핵화 협상에 임하느냐에 달려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케리 장관은 세계 주요 7개국 외무장관 회의에서도 북한의 최근 도발행위 등 북한 문제를 상당 시간 논의했다고 소개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이 역내 긴장을 높이는 언행을 삼가고 국제 의무와 약속을 지키는 구제적인 조치를 취할 것을 이들이 촉구했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