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폴란드 외교부가 평양 주재 자국 대사관 철수를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양국 간 교역 규모에 비해 대사관 운영 비용이 너무 많이 든다는 이유에서인데요, 북한이 지난 달 안전을 이유로 외국 공관에 외교관 철수를 요구했던 것과 맞물려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폴란드 외교부가 북한을 포함해 23개국에 개설된 해외 공관의 폐쇄를 검토중이라고 현지 언론이 최근 보도했습니다.
폴란드 일간 ‘가제타 프로나’에 따르면, 이들 해외 공관은 교역 규모에 비해 공관 운영 경비가 많이 드는 경제적 비효율성 탓에 철수 고려 대상에 올랐습니다.
신문은 그러면서 폴란드 외교부가 해외 공관 유지를 위해 정한 ‘1% 규정’이 있다고 소개했습니다.
해외 공관의 유지 그 비용이 해당국에 대한 수출액의 1% 이하여야 한다는 겁니다.
폴란드는 지난해 이 같은 규정에 따라 중앙아시아의 투르크메니스탄 대사관을 폐쇄하기도 했습니다.
신문은 특히 북한의 경우 공관 유지 비용이 양국 간 교역 규모에 비해 특히 많이 드는, 가장 비효율적 공관으로 나타났다고 꼬집었습니다.
실제 라도슬라프 시코르스키 폴란드 외무장관은 지난 3월 한 토론회에서 평양주재 폴란드 대사관의 유지 비용이 폴란드의 대북 수출액보다 2배 이상 높다고 털어놓기도 했습니다.
주로 폴란드 외교관들의 급여와 체제비 등으로 나가는 평양 대사관 경비가 지난해 폴란드 기업의 대북 수출액 총액의 약 240%(241.4%)에 이른다는 겁니다.
하지만 폴란드가 평양 주재 대사관을 당장 폐쇄할지 여부는 확실하지 않은 상탭니다.
과연 해외 공관의 유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수출 규모만 따지는 게 바람직한지를 두고 논란이 일고 있기 때문입니다.
경제적 손익 외에도 전략적 이익도 함께 고려돼야 한다는 겁니다.
신문은 특히 해외공관을 유지하는 데 드는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다른 유럽연합 소속 국가와 공관을 나눠 함께 쓰는 방안 등도 논의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앞서 올 해 초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의 삼촌인 김평일이 15년째 대사로 있는 폴란드 주재 북한 대사관은 현지 대출금 100만 달러를 갚지 않아 논란이 일기도 했습니다.
폴란드 과학원의 니콜라스 레비 연구원은 당시 언론 보도를 통해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북한을 둘러싼 부정적 여론이 일고 있다고 전하기도 했습니다.
니콜라스 레비 연구원 : 해외 자본의 투자를 유치하려 애쓰고 있는 북한이 평판에 해가 되는 이런 일을 왜 했는지 잘 이해되지 않습니다. 북한은 이런 일로 해외 공관이 현지 신문에 이름이 오르내리는 게 달갑지 않을 겁니다. 물론 김 대사도 이 일을 알고 있을 거구요.
북한이 지난 달 전쟁 위험을 이유로 평양 주재 외국 공관과 국제기구에 철수를 권고했었는데, 이번엔 역으로 해당 국가가 효용성을 이유로 공관 폐쇄를 고려하는 상황에 놓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