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도 트럼프 대북 선제공격 우려”

0:00 / 0:00

앵커: 중국도 북한의 핵탄두 장착 대륙간탄도미사일에 대응한 미국의 대북 선제공격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미국 스팀슨센터의 윤 선 선임연구원은 9일 워싱턴 DC 존스홉킨스 국제대학원(SAIS)에서 북한전문매체 ‘38노스’가 주관한 토론회에 참석해 최근 중국 방문을 통해 파악한 중국 측의 대북 입장을 전했습니다.

그는 중국도 북한이 현 시점에선 조만간 도발에 나서지 않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소개했습니다.

예를 들어 북한이 당장 핵실험이나 대륙간탄도미사일 시험발사에 나선다면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새 행정부와 대화 기회가 사라지고 올 여름께 치러질 수 있는 한국의 차기 대선에서 보수 정권이 집권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란 설명입니다.

윤 선 연구원은 또 중국도 주한미군의 사드, 즉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의 한국 내 배치가 결국엔 이뤄질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올해 한국에 진보 정권이 들어설 경우 중국은 사드 배치가 연기되거나 그 배치 수준이 일부 완화될 여지가 생길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습니다.

윤 선 연구원은 중국 입장에선 상대적으로 남북대화와 협력을 중시하는 진보 정권이 한국에 들어서는 것을 선호하고 있고 한미동맹 관계도 진보 정권이 집권했을 때 일부 제한적일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중국은 미국의 트럼프 행정부가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시험발사와 관련해 그 발사대를 선제타격하는 등 대북 군사공격에 나설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윤 선 선임연구원 : 공격을 당한 북한이 한국이나 일본, 미국을 향해 보복 공격에 나설 것이 자명하고 이는 역내 긴장 고조와 군사 충돌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충돌 가능성 때문에 중국은 미국이 섣불리 대북 선제공격에 나설 것으로 전망하진 않는다고 덧붙였습니다.

중국은 또 트럼프 행정부가 자국을 배제한 채 북한 측과 비밀 협상에 나서는 것도 우려하고 있다면서 중국은 미북 직접 대화를 장려하면서도 그 과정에 반드시 개입해 영향력을 행사하길 원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중국은 자국의 북핵 해법인 미북 평화협정 문제와 북한 비핵화 문제를 동시에 논의하는 방안을 가장 선호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이날 함께 토론회에 참석한 존 델루리 한국 연세대학교 교수는 북한에 대해 강경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트럼프 미국 행정부와 올해 한국에 들어설 가능성이 높은 진보 정권이 대북정책과 관련해 큰 갈등을 빚을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델루리 교수는 또 주한미군 내 사드 배치와 관련해 북한보다 오히려 중국이 더 민감하다면서 사드 문제로 인한 한중 간의 갈등을 북한은 바람직하게 보는 측면이 있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