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순방을 앞두고 미국의 대북 선제공격에 반대하는 미국 의회의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2일 오후 미국 워싱턴의 의회 의사당 옆 야외 기자회견장.
미 의회 의원들이 연단 앞에 선 가운데 반전단체 회원들이 ‘전쟁 아닌 외교’라고 쓰인 피켓을 들고 그 뒤를 에워쌌습니다.
먼저 마이크 앞에 선 에드워드 마키(민주∙메사추세츠) 상원의원이 대북 선제공격 금지를 위한 입법 활동에 앞장선 존 코니어스(민주∙미시간) 하원의원을 언급했습니다.
에드워드 마키 : 한국전 참전용사인 코니어스 의원은 두 번째 한국전쟁이 발발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을 어느 누구보다 잘 알고 있습니다.
그는 최근 미 의회 상원과 하원에 동시 발의된 ‘2017 위헌적인 대북공격 금지법’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대북 선제공격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서라고 밝혔습니다.
에드워드 마키 : 북한을 완전히 파괴하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무책임하고 위험한 공언이 실현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크리스 머피(민주∙코네티컷) 상원의원은 대북 선제공격은 북한 핵문제에 대한 해법이 될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크리스 머피: 이제는 의회가 나서 의회의 승인없는 대북선제공격은 안 된다는 사실을 분명히 할 때입니다.
이라크전 참전 용사인 태미 덕워스(민주∙일리노이) 상원의원은 미북 간 긴장을 낮춰야 할 때라고 강조했습니다.
태미 덕워스 : 대북 선제공격은 재앙적이라는 사실을 우리 모두 알고 있습니다. 수천 만 명이 북한의 사정권 안에 있습니다.
이 밖에 제프 머클리(민주∙오리건) 상원의원과 바바라 리(민주∙캘리포니아), 피터 웰치(민주∙버몬트) 하원의원도 북한 핵문제를 외교적으로 풀어야 한다고 재차 밝혔습니다.
상하원 의원 6명이 참가한 이 날 기자회견은 3일부터 시작되는 트럼프 대통령의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순방을 하루 앞두고 마련됐습니다.
미국 상원과 하원에는 최근들어 의회의 사전 승인없는 대북 선제공격을 금지하는 법안이 일주일 새 3건이나 잇따라 발의되는 등 미국과 북한 간 군사적 충돌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점차 커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