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의 박근혜 대통령은 현재 북한의 상황을 '엄중'하고 '불투명'하다고 표현하면서 "도발과 같은 돌발 사태도 배제할 수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또한 박 대통령은 국가안전보장회의 내에 상설 사무조직을 설치하도록 지시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박근혜 대통령은 16일 청와대에서 외교안보장관회의를 주재하고 북한의 정세와 관련해 만반의 대비태세를 갖춰줄 것을 강조했습니다. 장성택 처형에 따른 한반도의 정세 변화 가능성을 염두에 둔 발언입니다.
박근혜 대통령: 최근 북한에서 전개되고 있는 일련의 사태를 보면 향후 북한 정세가 어떤 방향으로 진행될지 불투명하고, 무모한 도발과 같은 돌발 사태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박 대통령은 “현 상황의 엄중함과 예측 불가능성을 감안할 때, 범국가적인 차원에서 민관군이 함께 총체적으로 대비해 나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특히 서해 5도를 비롯한 북한과 인접한 지역에 대한 감시 등 안보 태세를 강화하고 치안 유지에도 만전을 기해 달라”고 박근혜 대통령은 덧붙였습니다.
또한 박 대통령은 “한반도 안보 상황과 주변국 상황의 변화에 능동적이고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안에 상설 사무조직을 설치하는 방안을 강구토록 지시했습니다.
국가안전보장회의 사무조직은 노무현 정부 당시 존치했다가 이명박 정부 때 폐지됐으며, 현재는 김장수 국가안보실장이 간사로 있는 국가위기관리실에서 그 기능을 담당해왔습니다.
이정현 청와대 홍보수석은 “장성택 처형 뿐 아니라 최근 잇단 한반도 주변의 여러 상황을 감안해 국가안전보장회의 사무국 조직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는게 박 대통령의 지시였으며 회의 참석자들도 필요성을 적극 개진했다”고 말했습니다.
이날 회의에는 청와대에서 김장수 국가안보실장과 김기춘 비서실장, 주철기 외교안보수석이, 정부에서는 남재준 국가정보원장, 김관진 국방부 장관, 윤병세 외교부 장관, 그리고 류길재 통일부 장관이 참석했습니다.
박근혜 대통령이 외교안보장관회의를 주재한 건 새 정부 출범 이후 이번이 네 번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