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의 3차 핵실험 이후 계속되는 호전적 도발 위협에 대응해 미국도 대북압박 수위를 한층 높이고 있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북한은 최근 미국과 한국에 대한 도발 위협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이는 지난해 12월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와 지난달 3차 핵실험에 대한 유엔 등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움직임과 한미 연례 합동군사훈련에 대한 북한의 반발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장거리 미사일 발사 성공과 핵실험 강행으로 자신감을 얻은 북한이 한국전 정전협정 백지화를 선언하고 ‘서울, 워싱턴 불바다’, ‘핵 선제타격’까지 거론하는 등 최근 북한의 대남, 대미 위협 수준은 과거보다 한 단계 더 높아졌다는 분석입니다. 지난 7일 북한 외무성 대변인의 말입니다.
북한 외무성 대변인: 침략자들의 본거지들에 대한 핵 선제타격 권리를 행사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북한 측 위협에 맞서는 미국 측의 대북 압박도 한층 그 수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미국 백악관의 제이 카니 대변인은 11일 기자들과 만나 북한의 호전적인 언사와 위협을 우려한다면서 북한은 자국의 고립만 가중시키는 위협과 도발을 멈추고 국제 의무를 준수하라고 거듭 촉구했습니다.
제이 카니 대변인: 미국은 국제 의무를 무시하고 있는 북한을 압박하고 고립시키기 위해 국제사회와의 조율을 계속할 것입니다.
백악관의 토머스 도닐론 국가안보보좌관도 11일 미국은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용인하지 않을 뿐 아니라 북한이 미국 본토를 겨냥할 수 있는 핵미사일을 개발하는 것을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The United States will not accept North Korea as a nuclear state; nor will we stand by while it seeks to develop a nuclear-armed missile that can target the United States.)
미국은 실제 지난 7일 한국 등 동맹국과 함께 한층 강화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결의 2094호가 채택되도록 앞장선 데 이어 국무부와 재무부는 지난 11일 독자적으로 추가 대북제재에도 나섰습니다.
미국 재무부는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개발에 연루된 의혹을 받고 있는 조선무역은행과 백세봉 제2경제위원장을 제재 대상에 추가했고 국무부는 박도춘 북한 노동당 군수담당 비서, 주규창 노동당 기계공업부장, 오극렬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을 제재 대상에 추가했습니다.
국무부는 이러한 경제제재와 더불어 북한 인권문제에 대한 압박도 크게 강화하고 있습니다.
미국 국무부의 로버트 킹 북한인권대사는 11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속개된 제22차 유엔 인권이사회에 직접 참석해 북한의 참혹한 인권실태를 체계적으로 조사하는 유엔의 조사위원회(COI) 설립을 강력히 촉구했습니다.
앞서 지난 7일 미국 상원 외교위원회가 개최한 북한 관련 청문회에 출석한 국무부의 글린 데이비스 대북정책 특별대표도 북한 정권의 인권유린 실태를 국제사회에 널리 알려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글린 데이비스 특별대표: 북한 정권의 본질이 무엇인지, 이 정권이 자국민에게 어떤 일을 자행했는지 사람들이 절대로 잊지 않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상원에 앞서 미국 하원 외교위원회도 지난 5일 북한 관련 청문회를 열고 효과적인 대북 금융제재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북한의 핵과 미사일 등 대량살상무기 개발을 저지하기 위해서는 김정은 정권의 자금줄을 확실히 차단해야 한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