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북 특별제안 진실성 결여”

0:00 / 0:00

앵커 : 북한이 엊그제 국방위원회를 통해 적대행위와 상호비방을 전면 중지하자고 남한에 특별제안을 했는데요. 이에 대해 한국 정부는 1일 "진실성이 결여된 제안"이라며 북측의 제안을 거부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은 6월 30일 국방위원회 명의의 특별제안을 통해 “오는 7월 4일부터 상호 비방·중상과 모든 군사적 적대행위를 중지하자”고 주장했습니다.

북한 국방위원회 발표 직후 한국 정부는 청와대에서 국가안보정책조정회의를 열고, 1일 오후 통일부 대변인 성명으로 공식 입장을 발표했습니다.

김의도 대변인은 이날 성명에서 “남북간 군사적 긴장고조와 남북관계 경색 책임을 남측에 전가하는 얼토당토 않은 주장과 진실성이 결여된 제안”이라고 밝혔습니다. 북한의 제안을 공식적으로 거부한 겁니다.

김의도 : 심지어 북한은 지난 1월 비방중상 중단을 먼저 제안하고서도, 그에 대한 남북간 합의를 스스로 깨뜨리고, 우리 국가원수에 대한 극렬한 비방중상과 도발위협을 계속해 왔습니다.

김의도 대변인은 또 성명에서 “핵 문제 해결에 북측이 진정성을 보여줘야 한다”고 요구했습니다.

그리고 “핵-경제 병진노선을 포기하지 않는 한, 한반도의 평화적 분위기 조성은 어렵다”고 지적했습니다.

김의도 : 우리 국민은 물론 국제사회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이 한반도의 평화와 민족의 장래에 대한 근본적 위협이라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앞서 류길재 통일부 장관은 이날 오전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 출석해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현실적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운 제안”이라고 밝혔습니다.

류 장관은 “7·4 남북공동성명을 최근 남북관계에 적용해 자신들의 정당성을 주장한 점은 특이하지만, 내용은 별다른 게 없다”고 말했습니다.

류 장관은 북한의 특별제안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과 관련돼 있느냐는 질문에 “딱히 의식한 거라 단정지을 순 없지만, 시점상으로 그런 해석은 가능하다”고 답했습니다.

북한은 올해 1월에도 국방위원회 중대제안을 통해 평화 제의를 했지만, 남한 정부는 “말이 아닌 행동으로 보여달라”며 거부했습니다. 당시에도 남측 정부가 요구했던 것은 비핵화를 위한 북측의 실질적 행동이었습니다.

한국 정부가 북한의 특별제안을 거부함에 따라 이제 공은 다시 북한으로 넘어갔습니다. 북한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 주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