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대사들, 앞다퉈 ‘위성발사 권리’ 주장

0:00 / 0:00

앵커: 주요국 주재 북한 대사들이 일제히 북한의 핵보유국 입지 강화를 위한 선전 활동에 나서고 있습니다. 이들은 오는 10월 장거리 로켓 발사 가능성도 시사하고 있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북한의 서세평 스위스 제네바 유엔대표부 주재 대사는 29일 기자회견을 열고 위성 기술을 향상시키는 것은 “주권 국가의 권리”라고 주장했습니다.

최근 증축 공사가 마무리된 것으로 알려진 서해 동창리 로켓 발사장과 관련한 질문을 받은 서 대사는 증축 공사가 진행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지만 완전히 마무리됐는지 여부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습니다.

그러면서 위성과 관련한 기술 개발도 당연한 북한의 권리라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28일 북한의 장일훈 유엔 주재 차석대사도 뉴욕 북한대표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는 10월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설과 관련해 그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장일훈 대사:북한은 무엇이든 자유롭게 원하는 것을 할 수 있습니다. 어떤 조약이나 의무에도 구속되지 않습니다.

북한 당국은 지난 21일 외무성 대변인 발언 이후 주요국 주재 북한 대사를 통해서도 북한의 핵보유국 입지 강화와 핵포기 불가에 대한 북한 측 입장을 선전하고 있습니다.

북한 대사들이 이를 위해 기자회견에 나서자 오는 10월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 발사 시험에 나설지 궁금한 기자들이 이에 대한 질문을 쏟아낸 것입니다.

러시아 주재 김형준 북한 대사도 29일 러시아 인테르팍스 통신과 회견을 통해 북한이 핵보유국임을 거듭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의 일방적인 핵포기를 논의하는 협상에는 흥미가 없다는 북한 측 입장을 되풀이했습니다.

이 같은 김 대사의 발언은 지난 28일 중국 주재 지재룡 북한 대사의 주장과 일치하는 것입니다.

이 같은 북한 측 주장에 미국 국무부 측은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결코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밝히고 있습니다.

또 북한의 10월 장거리 로켓 발사 가능성과 관련해서도 북한의 자제를 촉구했습니다.

북한의 도발은 한반도 안보에 해롭다는 게 지난주 존 커비 미국 국무부 대변인의 말입니다.

커비 대변인:북한이 불안정을 야기하는 행동을 하는 것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보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을 지속적으로 강조합니다.

한편 미국 신미국안보센터(CNAS)의 패트릭 크로닌 선임연구원은 최근 미국 CNN방송 기고문에서 김정은 정권의 불안정성 때문에 북한의 핵무기가 핵 강대국인 러시아의 그것보다 오히려 더 위험하다는 주장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물론 핵무기의 성능과 규모 면에서 러시아는 북한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우위에 있지만 정권이 안정적인 러시아와 달리 북한의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은 통치력에 문제가 있고 심지어 실각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란 게 크로닌 연구원의 설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