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러시아는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고 않고 핵과 미사일 개발을 분명히 반대한다고 주한 러시아 대사가 강조했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알렉산드르 티모닌 주한 러시아 대사는 23일 서울에서 열린 한러 수교 25주년 기념 토론회에 참석해 북한의 핵과 장거리 미사일 개발에 반대하는 러시아의 분명한 입장을 밝혔습니다.
러시아는 북한의 이른바 ‘핵보유국’ 위상을 인정하지 않을 뿐 아니라 북한의 핵미사일, 핵무기 개발의 정당성도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티모닌 대사는 북한이 평화적 핵에너지 이용과 우주탐사에 대한 권리를 가지고 있지만 이 권리를 행사하기 위해서는 먼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와 6자회담 9.19공동성명의 합의 내용부터 이행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러한 그의 발언은 최근 북한이 위성 개발 명목으로 장거리 로켓을 발사하고 4차 핵실험에 나설 가능성을 시사한 데 대해 사실상 이를 반대한다는 의사를 표시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미국 백악관의 수잔 라이스 국가안보보좌관도 지난 21일 연설에서 미국 뿐 아니라 중국도 북한을 결코 핵보유국으로 인정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 포기를 촉구했습니다.
라이스 보좌관: 미국과 중국 양국 모두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지 않을 것입니다.
실제 미국을 방문 중인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도 22일 미국 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 인터뷰를 통해 한반도의 평화적 비핵화를 원하는 중국의 입장을 강조하면서 북한의 핵무기 개발에 반대한다는 뜻을 분명히 밝혔습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 국무부의 대니얼 러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는 북한이 핵을 포기할 경우 제공받게 될 혜택을 새삼 거론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러셀 차관보는 22일 워싱턴 외신기자센터(FPC)에서 기자들과 만나 북한이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 조치를 취할 경우 2005년 6자회담 9.19 공동성명에서 합의한 대로 북한이 원하는 평화체제와 외교관계 정상화도 가능하다는 점을 상기시켰습니다.
러셀 차관보: (6자회담 관련국들은) 북한이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 조치를 취하는 등 의무와 약속을 이행할 경우 정전협정을 대체하는 평화체제와 관계 정상화, 경제적 지원 등을 제공하기로 합의했습니다.
러시아의 티모닌 대사도 23일 연설에서 9.19공동성명에는 북한의 핵포기 의무만 있는 것이 아니라면서 미국도 북한의 안보 우려를 고려해야 하고 대북 수교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한편 한국을 방문한 미국 국무부의 성 김 대북정책 특별대표는 23일 한국의 조태용 외교부 1차관과 만나 북한의 전략적 도발 억제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북한의 도발 시 한미 양국 간 확고한 공조를 재확인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 전문가들은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 등 도발을 사전에 예방하고 핵포기 시 북한이 얻을 수 있는 혜택을 강조해 북한 지도부의 핵포기 결단을 유도하기 위한 시도로 분석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