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러시아는 최근 우라늄 농축과 경수로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는 북한 외무성의 언급에 대해 강한 어조로 핵 활동을 중단하고 국제원자력기구의 사찰을 허용하라고 촉구해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과연 러시아의 입장은 무엇인지 양성원 기자가 전문가의 의견을 들어봤습니다.
지난달 30일 북한 외무성은 경수로 건설과 저농축 우라늄 생산이 빠른 속도로 추진되고 있다면서 그 누구도 북한의 평화적 핵에너지 이용 권리를 침해할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에 대해 러시아 외무성은 다음 날인 1일 곧바로 북한은 우라늄 농축 등 모든 핵 활동을 중단하고 국제원자력기구의 사찰을 허용하라고 촉구했고 이러한 러시아의 강경한 입장 표명과 관련해 일각에서는 다소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오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전문가들의 반응은 과거 러시아의 입장과 이번 러시아의 태도가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입니다.
러시아 정부 입장에 정통한 것으로 평가받는 러시아과학원의 게오르기 톨로라야 박사는 2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러시아는 앞서 북한의 핵실험과 미사일 시험발사의 모라토리엄, 즉 유예 뿐 아니라 국제원자력기구 요원의 북한 복귀도 지속적으로 요구했다면서 이번 러시아 외무성의 발언도 그 연속선상에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러시아의 입장은 북한이 우라늄 농축을 중단하고 국제원자력기구 사찰단을 복귀시키면 6자회담 재개를 위한 유리한 상황이 만들어진다는 것이지 미국과 한국처럼 이런 조치를 6자회담 재개에 앞서 북한이 반드시 취해야 할 이른바 ‘비핵화 사전조치’로 여기는 건 아니라고 지적했습니다.
insert(
Toloraya
) It's just our demand that they should do but it's not a pre-condition. We want to have talks without any condition.
오스트리아 비엔나대학교의 루디거 프랑크 박사도 이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러시아는 애초부터 핵을 보유한 북한을 결코 원치 않았다면서 러시아가 이번에 북한의 핵 개발을 비판하는 모습은 이례적이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러시아는 북한의 핵 관련 활동을 금지한 유엔 안보리의 대북결의를 북한이 준수하도록 촉구함으로써 중국과는 달리 국제사회의 규칙을 지킨다는 모습을 내보이길 원한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이번 러시아의 강경한 대북 입장이 러시아와 남북한을 잇는 가스관 사업과도 연관이 있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북한이 우라늄 농축을 중단하고 사찰단을 허용해 한반도의 긴장 수위가 낮아지면 가스관 사업이 활성화되는 데 유리할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또 프랑크 박사는 가스관 사업에 대한 협상에서 북한이 통과료 등과 관련해 러시아 측에 무리한 요구를 했을 수 있다면서 러시아 당국은 이번 발언을 통해 북한이 가스관 사업에 협력하지 않으면 러시아도 핵문제와 관련해 북한 편을 들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