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지난달 북한의 5차 핵실험 강행에 대응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새로운 대북제재 결의안 논의가 기대만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이달 안보리 의장국인 러시아가 논의 초기부터 적극 개입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러시아 현지 외교 소식통은 3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러시아가 이번 새로운 대북제재 결의안 도출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자신의 목소리를 낼 채비를 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러시아가 지난 북한의 4차 핵실험에 대한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 채택 당시 중국과 미국에 주도권을 내준 상황을 “매우 굴욕적으로 생각”했기 때문에 이번 결의안 논의 과정에서는 안보리 의장국으로서 초기부터 제대로 의견을 개진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내보이고 있다는 설명입니다.
또 지난달 29일 양국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가 만난 자리에서 러시아 측이 더욱 강력한 신규 대북 제재결의를 조속히 채택하는 데 적극적인 모습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지만 이는 실제 러시아 측 입장과는 다소 ‘온도차’가 있다는 게 이 소식통의 전언입니다.
러시아가 남북한 관계 등 한반도 문제 본질보다는 미국과의 자존심 대결이라는 측면에서 북핵 문제를 다루고 있고 기본적으로 제재를 통한 문제 해결에 ‘회의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미국 스탠퍼드대학 데이비드 스트라우브 한국학연구소 부소장도 3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러시아가 북한에 실질적으로 큰 타격을 주는 추가 제재안 마련에 적극 동참하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스트라우브 부소장 : (러시아 측은) 미온적인 태도를 보일 것으로 예상합니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미국에 대한 감정이 너무 좋지 않기 때문에 한반도 관련 문제에서도 영향이 있을 것으로 봅니다.
실제 러시아 외무부 측도 한러 6자회담 수석대표 회담 이후 발표한 언론보도문에서 “정치, 군사적 압박 방법에만 의존하는 것은 한반도 문제 해결에 비생산적임을 지적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동북아시아 지역의 전반적 군사, 정치적 긴장 완화와 대결적 구도 타파를 통해 교착상태에서 벗어나는 새롭고 창의적 접근법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도 강조했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