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중국이 4차 핵실험을 강행한 북한을 제재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참여할 뜻을 공식적으로 밝혔습니다. 하지만 중국은 적절한 수준의 대응조치를 취하겠단 입장을 밝히고 있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중국의 왕이 외교부장은 중국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결의안 채택을 지지할 방침을 밝혔습니다.
왕 부장은 15일 발표한 성명을 통해 중국은 유엔 안보리가 북한의 핵실험에 대해 ‘필요한 대응’을 하는 것을 지지한다고 말했습니다.
왕 부장은 북핵 6자회담 재개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국제사회의 대응은 대립을 촉발하기보단 한반도 비핵화 목표를 진전하는 방향으로 가야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한반도의 혼란보다는 지속적인 안정을 위한 대응이 되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중국 외교부의 훙레이 대변인도 이날 정례기자설명회에서 안보리의 대북제재 결의안이 당연히 한반도 비핵화와 동북아시아 지역의 평화 안정 수호에 방점을 둬야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는 현재 유엔에서 논의되고 있는 강도 높은 대북 제재 결의안 초안을 중국이 무조건 찬성한다는 입장이 아니라는 점을 밝힌 것으로 풀이됩니다.
앞서 한국 외교부의 황준국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14일 베이징에서 우다웨이 중국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를 만나 북한이 핵무장을 통해서는 국제사회에서 출구를 찾기 어렵다는 점을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는 점에 의견을 모았다고 말했습니다.
황준국 본부장: 금번 협의에서 안보리의 새로운 제재 결의를 통해서 국제사회가 명확한 대응을 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 의견을 같이 했습니다.
하지만 중국 측은 국제사회가 요구하는 강력하고 포괄적인 대북제재보다는 ‘적절’한 수준의 제재를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고 황 본부장은 현재 양측이 접점을 찾고 있는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 국무부의 존 커비 대변인은 14일 미국의 강도 높은 대북제재 의지를 강조하면서 중국도 이에 적극 동참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커비 대변인:미국은 중국이 영향력과 역내 지도력을 발휘해 북한의 도발적 행동에 책임을 물으라는 일관된 메시지를 중국 측에 전하고 있습니다.
커비 대변인은 중국의 과거 대북 접근법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는 최근 존 케리 국무장관의 지적을 상기시키면서 북한의 도발 행위에 책임을 묻는 데 중국이 더 적극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