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미국 상원이 대북제재 강화법안을 본격적으로 논의하기 시작하면서 대북 인도주의 지원의 허용 범위와 관련한 논란도 뜨겁습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상원 외교위원회가 28일 대북제재강화법안을 채택한 가운데, 미국의 대북 지원단체들은 인도주의 지원과 관련한 내용을 완화해 줄 것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대표적인 대북인도주의 지원단체들은 후원자들에게 상원의 법안 논의가 시작되기 전날인 27일까지 거주 지역의 의원에게 대북지원 폭을 대폭 축소하지 않도록 호소해 줄 것을 요청하기도 했습니다.
머시코, 월드비전, 글로벌 리소스, 사마리탄스 퍼스, 조선의 그리스도인 벗들 등 미국의 5대 대북인도주의 지원단체들은 미국 하원이 지난 12일 북한 정권에 대한 제재를 강화한 대북제재 강화법안(H.R.757)을 채택한 시기를 전후로 의회 관계자에 대한 설득 작업 등 공동 대응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원이 채택한 대북제재 강화법안은 북한의 돈줄 차단을 위한 대북 금융제재 강화가 핵심 내용이지만 북한과 무기를 거래하는 국가에 대해서도 미국 행정부의 대외 원조를 금지토록 하는 등 인도주의 지원과 관련한 내용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대북지원단체 관계자는 미국 의회에서 논의 중인 대북제재법안이 인도주의 대북지원을 원천적으로 금지하지는 않지만 의약품 등 지원품목이 대폭 제한되고 지원활동에 필요한 장비를 북한에 보내지 못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며 우려했습니다.
반면 미국이 강력한 대북제재 법안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는 뜻을 의회에 전달하는 미국내 한인단체들의 움직임도 분주합니다.
미국내 한인단체의 연합체인 미주한인회총연합회는 이달 중순 미국 의회에 대북제재법안 채택을 촉구하는 청원서를 송부했다고 밝혔습니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워싱톤 협의회도 규탄성명과 법안 채택을 촉구하는 서한을 지난 주 연방 상원과 하원 의원 총 535명 전원에 전달했다고 밝혔습니다.
황원균 평통 워싱턴협의회장: 평통사무처가 발표한 북한 핵실험 규탄 성명서를 영문으로 번역해서 의원들에게 전달했고, 하원에 이어 상원도 대북제재법안을 조속히 채택해 달라는 편지도 보냈습니다.
북한에 대한 미국 정부의 강력한 제재를 촉구하는 있는 한인단체들은 규탄성명서 채택과 의원에게 편지보내기, 그리고 중국공관을 방문해서 북한제재에 동참해 줄 것을 촉구하는 운동 등을 벌이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