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5.24조치 해제를 둘러싸고 남북이 신경전을 벌이고 있습니다. 북한이 29일 이산가족 상봉의 전제조건으로 5.24조치 해제를 요구하자 남한 정부는 5.24조치 해제의 전제조건으로 천안함 폭침 사건에 대한 사과와 재발방지를 내세우며 응수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이 연일 5.24조치의 해제를 촉구하고 있습니다. 북한은 29일에도 노동신문을 통해 “남한 정부가 이산가족 상봉을 비롯한 남북관계 현안을 해결할 의지가 있다면 5·24 조치 해제부터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노동신문은 이어 “5.24 조치의 골자는 어떤 인원과 물자, 자금도 북한에 흘러들어 가게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라며, “5.24 조치의 해제 없이 수백 명의 인원이 오가는 이산가족 상봉이 어떻게 진행될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습니다.
이에 대해 한국 정부는 이산가족 문제를 5.24조치 해제와 연계한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5.24조치 해제는 북한의 책임 있는 조치가 필요한 만큼 일단 만나서 얘기하자는 겁니다.
한국 정부가 요구하는 책임 있는 조치는 천안함 폭침 사건에 대한 북한 당국의 공식적인 사과와 재발방지입니다.
이와 관련해 통일부의 한 당국자는 29일 기자들과의 만남에서 “북한이 요구하는 5.24 조치 해제는 남북이 대화를 통해 협의할 문제”라며 “이를 위해 북한이 먼저 대화의 장으로 나와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당국자는 이어 설계기 이산가족 상봉행사가 북한의 무응답으로 사실상 어려워진 데 대해 “상봉 행사를 꼭 설에 맞춰서 하겠다는 것은 아니라며 어떻게든 성사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남북 간의 이러한 정치적 싸움에 이산가족들은 불안해하고 있습니다.
이상철 일천만이산가족위원회 위원장 : 이산가족 상봉은 정치와는 무관한 인도주의적 문제입니다. 이런 이산가족 상봉을 정치적 상황에 따라 열었다 닫았다 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한편 류길재 통일부 장관은 28일 열린 국제학술회의에서 “북한이 조건을 달며 대화의 장에 나오지 않는 것은 광복 70주년을 맞는 올바른 태도가 아니며 북한이 신년사에서 제시한 과업도 공염불이 될 수 있다”고 유감을 표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