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한국의 외교부는 "강력하고 실효적인"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가 채택되도록 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 발언은 중국 측이 '춘제' 이후로 대북 결의안 채택을 연기하자고 제안한 것으로 보도된 가운데 나왔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의 제4차 핵실험에 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 결의안 채택 시점과 내용은 “양자택일”할 수 있는 성격의 사안이 아니라고 한국의 외교부가 2일 말했습니다.
강력하고 실효적인 내용의 안보리 제재 결의가 채택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에 못지 않게 채택 시점도 중요하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외교부의 이 같은 발언은 중국 정부가 결의안 채택을 설 명절인 ‘춘제’ 이후로 미루자고 제안한 것으로 보도된 가운데 나왔습니다.
조준혁 외교부 대변인: 안보리 결의 추진과 관련해서는 시기의 문제와 내용의 문제가 있습니다. 이 두 가지는 양자택일의 문제가 아니라 두 가지 모두 우리에게 중요한 것입니다. 우리로서는 안보리 이사국들과 긴밀한 접촉과 협의를 통해서 이런 두 가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최선을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일본의 아사히 신문은 중국이 최근 관계국들에 “각국의 의견이 달라 조기에 결론을 내기 어렵다”며 “춘제 연휴 이후로 결론을 미루자”는 취지의 제안을 했다고 1일 보도했습니다.
조준혁 대변인은 이 같은 보도 내용이 사실인지 여부에 대해선 “아는 바 없다”며 확인을 거부했습니다.
중국의 춘제 연휴는 13일까지입니다. 대북제재 결의가 춘제 이후로 미뤄지면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추가 제재 없이 40여일이 지나버리는 셈입니다.
한국 정부 당국자들은 “제개 결의가 늦어지면 그만큼 북한에 대한 심리적 압박 효과가 떨어질 것”이라며 우려했습니다.
2006년 1차 핵실험 때는 5일 만에, 2009년 2차 핵실험 때는 18일, 2013년 3차 핵실험 때는 23일만에 안보리 대북 결의가 각각 채택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