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보리 새 대북 제재 결의, 만장일치 채택

0:00 / 0:00

앵커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새로운 대북 제재 결의 2270호를 2일 만장일치로 채택했습니다. 뉴욕에서 정보라 기자의 보도입니다.

북한의 지난 1월 4차 핵실험과 지난달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응한 유엔 안보리의 새 대북 제재 결의 2270호(S/2016/2270)가 2일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안보리 회의에서 만장일치로 채택됐습니다.

이번 결의 채택에 긴밀히 협력해온 미국과 일본, 한국 대사들은 회의 후 기자회견을 열어 새 결의 채택을 환영했습니다.

유엔주재 미국 대표부의 사만다 파워 대사는 “이번 결의가 종전보다 대폭 강화되었다”며 새로 추가된 내용을 설명했습니다.

새 대북제재 결의 2270호는 안보리 역대 최초로 북한 수출입 모든 화물에 대한 의무적 검색을 실시하고, 북한의 핵·탄도미사일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자금 창출 및 기술 이전 등을 더욱 어렵게 만드는 조치들이 포함됐습니다.

유엔주재 한국대표부의 오준 대사는 북한 정권이 주민들을 굶게 하면서 그 동안 무기 개발에 수십 억 달러를 썼다고 비난했습니다.

오 준 대사 : 지금까지 북한이 6차례 장거리 미사일 발사와 4차례 핵실험을 실시하면서 소요한 비용이 약 40억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이 목표로 하는 연간 대북 지원금이 1억 달러에 이릅니다. 북한 정권이 무기 개발에 쓴 비용이 40년 동안 북한 주민들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원과 맞먹는다는 말입니다. 주민들이 굶주리는 동안 북한 정권은 무기 개발에만 열을 올리며, 주민들을 희생시킨 것입니다. 안보리의 새 대북제재 결의가 북한의 추가 무기 개발과 도발 행위를 막고, 북한을 포함해 유엔의 193개 회원국 모두에게 이득이 되기를 바랍니다.

유엔주재 일본대표부의 요시카와 모토히데 대사도 새 결의가 북한 주민들의 인권 개선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대한 관심을 반영한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