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대북제재 상당한 진전”

0:00 / 0:00

앵커: 한국 정부는 북한의 핵실험에 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 논의에 "상당한 진전"이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아직 완전한 합의에 이른 것은 아니라고 덧붙였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를 위한 결의안 마련이 마무리 국면에 들어섰습니다.

외교통상부의 조태영 대변인은 한국 시간으로 6일 오전 1시(뉴욕 시간으로 5일 오전 11시) 안보리가 비공개 회의를 가질 예정이라면서 북한의 핵실험에 대한 안보리의 제재 결의 논의에 “상당한 진전”이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이 같은 발언은 지난 4일 미국과 중국이 대북제재 방향에 대해 잠정 합의를 이룬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나왔습니다.

안보리 상임 이사국들은 이날 비공개 회의에서 대북 제재 결의안의 초안을 놓고 구체적인 문안을 조율하는 작업을 거칠 것으로 보입니다.

조태영 외교통상부 대변인: 대북제재 안보리 결의 관련해서는 분명히 지난번 채택된 내용보다 추가되는 내용이, 또 진전된 내용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다만, 조 대변인은 "아직 완전한 합의에 이른 것이 아니기 때문에 어떤 내용이 추가되거나 들어가는지에 대해서는 밝힐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개별 국가가 안보리 결의에 추가해 독자적으로 북한을 제재하는 문제는 “각국이 결정할 사항"이라고 조태영 대변인은 설명했습니다.

유엔 안보리는 2월12일 북한의 핵실험 직후 성명을 내고 "안보리는 중대 조치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결의 채택 논의에 즉각 착수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성명은 특히 "북한의 핵실험은 국제 평화와 안보의 명백한 위협"이라고 지적하면서 지난해 12월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채택한 결의 2087호에서 핵실험 등 추가 도발에 '중대 조치'를 취하겠다고 경고했다는 점을 상기시켰습니다.

따라서 이번에 채택될 안보리 대북 결의는 불법 화물을 실은 것으로 의심되는 선박에 대한 검사를 강화하고 국제 금융거래를 압박할 수 있는 새로운 조치 등을 포함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