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대북제재 이행 여부 ‘오락가락’

0:00 / 0:00

앵커 : 중국이 대북 교역 과정에서 과거보다 엄격한 법 집행에 나서고 있는 걸로 알려졌습니다. 반면 양국 간 국경무역은 점차 활기를 찾을 조짐도 엿보여 주목됩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예전에 비해 중국 측이 통관 심사를 까다롭게 한다는 얘기는 자주 들린다. 관행적으로 눈감아 주던 물품 끼워넣기 등이 어려워졌다는 얘기도 있다.’

중국의 한 대북 소식통은 1일 자유아시아방송에 최근 북중 교역 과정에서 중국 측이 원칙을 들이대며 서류 심사를 꼼꼼히 하는 사례가 많다고 전했습니다.

과거엔 통관 과정에서 서류상 기재된 내용이 실제 품목과 달라도 눈감아 주는 경우가 많았지만 이젠 이런 관행에 제동이 걸리는 사례가 늘고 있다는 겁니다.

실제 중국 교통운수부는 지난 달 17일 산하 기관에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를 엄격히 이행하라는 통지를 내려 보내기도 했습니다.

이런 분위기 탓인지 양국 간 교역 규모는 지난 1/4분기에 감소세로 돌아선 걸로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중국 측이 이전과 달리 대북 교역에 이런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고는 있지만 양국 간 교역은 4월 이후 점차 활기를 찾아가는 분위기라고 이 대북 소식통은 덧붙였습니다.

중국의 대북 교역 거점인 랴오닝성 단둥 시내에서 북한의 무역일꾼들이 최근 들어 자주 눈에 띄는 등 북중 교역이 점차 활성화할 조짐이 엿보인다는 겁니다.

영국의 로이터 통신도 이날 단둥발로 중국이 지난 두 달 동안 대북 교역 과정에서 세관 검사를 강화하긴 했지만 양국 간 무역은 거의 영향을 받지 않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역시 북중 교역의 거점 중 하나인 중국 지린성 훈춘시도 올들어 대북 교역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90%나 증가했습니다.

앞서 중국 중앙TV도 북한의 전쟁 위협 아래서도 북중 양국 간 국경무역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고 최근 보도하기도 했습니다.

중국 매체 녹취: (중국의 대북 교역업체의) 생산공정은 빠르게 돌아가고 있고 근로자들은 북한으로부터 밀려드는 주문에 초과 근무까지 하고 있습니다.

북중 교역에 관한 중국의 이런 복잡한 태도는 대북 제재 이행 보다는 그 동안 이뤄져온 양국 간 비정상적 관행을 바로잡는 과정이라고 한 대북 소식통은 해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