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핵개발 야욕을 버리지 못하고 있는 북한에 대한 초강력 추가 독자 제재를 발표했습니다. 지난 3월 이후 올해 두번째입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미국 재무부는 1일 북한 관련 개인 4명과, 기관과 단체 10곳에 대한 추가 제재를 전격 단행했습니다.
제재 대상 개인은 베이징 주재 북한 고려은행 대표인 리성혁과 정부 관계자인 김수광 등 북한인 2명과 북한과 거래한 러시아와 콩고인 각각 1명 등 모두 4명입니다.
제재 대상 기관과 단체는 우선 북한 인민군과 인민무력성, 국무위원회 등 군부와 헌법기관 3곳이 포함됐고 북한의 조선컴퓨터센터, 송이무역회사, 조선아연공업회사, 그 외에도 북한과 거래한 러시아 기업 3곳과 콩고 기업 1곳 등 총 10곳입니다.
이번에 제재 명단에 오른 북한 기업들은 노동력을 해외로 송출하고 석탄, 아연 등 광물을 수출하면서 외화벌이에 앞장선 것으로 알려졌고 러시아 기업들은 대북 석유수출과 군수품 조달 등에 관련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미국 재무부의 제재 대상에 오르게 되면 미국 내 자산이 동결되고 미국인이나 미국 기업과 거래가 금지됩니다.
이날 추가 제재와 관련해 미국 재무부의 존 스미스 해외자산통제국장은 미국 정부가 북한 핵무기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위한 재원을 조달하고 지원하는 데 책임있는 개인과 기관을 지속적으로 추적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The United States will continue to target individuals and entities responsible for financing and supporting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and ballistic missile programs.)
그는 재무부가 미국의 동맹국과 협력해 북한의 도발 행동에 맞서고 있다면서 미국의 파트너, 즉 동반자 국가들도 북한의 자금줄을 끊을 수 있도록 상응하는 조치를 취하길 촉구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번 제재는 군부와 최고 헌법기관 등 북한 정권을 정면으로 겨냥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또 중국에 이어 러시아와 콩고 등 북한과 거래하는 제3국을 미국의 독자 제재 대상에 포함시켰고 북한 고려은행이나 무역회사 등을 제재함으로써 북한의 외화벌이 차단에 적극 나선 것이 특징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앞서 지난 3월 말 미국 재무부는 트럼프 행정부 들어서 처음으로 북한 기업 1곳과 북한인 11명을 무더기로 제재 대상에 추가한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