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결정으로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공조가 약화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별다른 영향이 없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결정이 대북제재와 관련된 국제사회의 공조에 악영향을 줄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북한은 이번 영국의 결정으로 유럽연합의 대북제재가 다소 완화될 수 있지 않을까 내심 기대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브렉시트(Brexit), 즉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공조는 별다른 연관성이 없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오스트리아 비엔나 대학교의 루디거 프랑크 박사는 28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우선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는 유럽 국가가 아니라 미국이 주도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프랑크 박사: 유럽이 대북제재를 주도하지 않고 있고 유럽연합 가입과는 상관없이 유럽 국가들이 각자 여러 대북제재에 협조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과 돈독한 관계를 맺고 있는 영국은 대북제재를 지속할 것이며 심지어 유럽연합 탈퇴 이후 대북제재를 더 강화할 수도 있다는 게 프랑크 박사의 설명입니다.
그는 이어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결정으로 주목해야 할 사안은 유럽연합 주재 대사관 역할까지 겸하고 있는 영국 주재 북한 대사관의 위상 변화라고 덧붙였습니다.
미국 헤리티지재단의 브루스 클링너 선임 연구원도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결정이 대북제재 분위기에 미칠 영향은 미미하다고 말했습니다.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여부와는 별도로 유엔 대북제재의 철저한 이행과 북한의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조치에 대한 이들의 견해가 달라지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란 설명입니다.
찰스 헤이 주한 영국대사도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영국은 유럽연합 탈퇴 이후에도 북한에 대해서는 유럽연합이 어떤 결정을 하든 기본적으로 같은 방침을 취할 것으로 본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한국의 조준혁 외교부 대변인은 28일 기자들과 만나 북한 핵과 인권 문제와 관련해 한국 정부는 영국 또 유럽연합과 긴밀한 공조를 계속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