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아베 총리, 대북제재 일부 해제

0:00 / 0:00

앵커: 한중 정상회담이 열린 3일 일본의 아베 신조 총리는 북한에 대한 일본의 제재 일부를 해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일본의 아베 신조 총리는 3일 오전 국가안전보장회의를 열고 2006년 북한의 1차 핵실험을 계기로 단행했던 일본의 대북 독자제재 조치 일부를 풀겠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이 일본인 납치 문제 재조사에 적극 나서겠다는 의지를 보인 만큼 일본도 그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하겠단 것입니다.

아베 총리: 행동 대 행동 원칙에 따라 일본이 취했던 일부 (제재) 조치를 해제하고자 합니다.

이에 따라 북한과의 인적 왕래와 인도적 목적의 선박 왕래가 허용되고, 대북 송금과 현금 반출 규제도 완화되는데 일본 정부는 4일 각의를 거쳐 이를 공식 발표할 예정입니다.

하지만 유엔 안보리 결의에 포함된 북한의 자산동결과 수출입금지, 그리고 만경봉호의 입항 금지 조치는 계속 유지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일본은 지난 1일 베이징에서 열린 북일 국장급 회담에서 북한이 제시한 납북 피해자 특별조사위원회 운영안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이번 조사위는 북한 최고 권력기관인 국방위원회로부터 모든 기관을 조사할 특별 권한을 부여받기도 했기 때문입니다.

아베 총리는 조사위에 북한의 국방위원회와 국가안전보위부 등 국가적 결단을 내릴 수 있는 기관들이 전면에 나섰다며 큰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아베 총리: 북한이 전에 없던 (납치 문제 해결) 태세를 갖췄다고 판단했습니다.

한국과 미국 정부는 일본의 대북제재 해제와 북일 협의가 투명하게 추진돼야만 한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습니다.

한국 외교부의 노광일 대변인은 3일 기자들과 만나 “일본 정부의 어떤 조치도 북한 핵과 미사일 문제에 관한 한미일 등 국제적 공조의 틀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뤄져야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중국 측은 북일 간 협상에 진전이 있었다는 점을 주목한다고 밝혔습니다.

훙레이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3일 정례기자설명회에서 이같이 말하면서 북일 양국이 협상을 통해 관계를 개선하고 지역의 평화 안정에 도움을 주길 희망한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이날 아베 총리의 대북제재 해제 발표는 서울에서 같은 날 개최된 한중 정상회담에 맞춰 전격적으로 이뤄졌습니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일본 측이 북한과의 관계 개선을 통해 한중 양국을 견제하려는 의도를 내보였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습니다.

북일 관계 개선 상황을 노골적으로 내보이면서 한중 양국의 대일 압박 공조에 불편한 심기를 드러낸 것이란 설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