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이 유엔과 미국의 제재를 피하기 위해 북한 해운업체 소유 선박의 식별번호나 이름을 바꾸는 등 정보 교란을 시도한 징후가 포착됐습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올해 들어 서른 척이 넘는 북한 해운 선박들이 고유 식별번호를 변경했다고 미국의 북한 전문인터넷 매체인 엔케이뉴스(NK News)가 22일 보도했습니다.
지난 10개월 동안의 국제 해상교통(Marine Traffic)의 정보를 분석한 결과 32척의 북한 소유 선박이 해상이동업무식별번호(MMSI)를 변경했다고 이 매체는 전했습니다.
엔케이뉴스는 무선통신을 위한 선박 고유의 식별번호를 바꾼 32척의 선박 중 18척은 북한이 아닌 제3국의 주소로 원적지를 옮겼거나 회사이름 또는 국적기를 변경했음을 유럽선박정보체계(Equasis Maritime Database)에서 확인했다고 덧붙였습니다.
해상이동업무식별번호는 무선통신을 위해 선박에 부여되는 고유번호로 국적 등의 정보를 포함합니다.
해상이동업무식별번호의 변경은 주로 소유주가 바뀌거나 새로운 국적기를 걸어야 할때 이루어진다고 미국과 캐나다의 선박 관리 전문회사 관계자가 이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설명했습니다.
케니 스미스 ( Peace of Mind at Sea 홍보): 해상이동업무식별번호는 9자리 숫자인 선박 고유의 무선통신 식별번호입니다. 앞자리 세 자리는 국적을 표시합니다. 한국은 440 그리고 북한은 445로 시작합니다. 366등으로 시작하는 미국과는 다릅니다.
유엔은 지난해 북한의 3차 핵실험 이후 북한 선박에 대한 강제검색을 포함한 추가 대북제재를 발표해 지난 8월부터 시행하고 있습니다.
거래 금지된 품목을 실은 것으로 의심된 북한 선박이 자국의 영토에 들어 왔을때 모든 화물을 검사하고 이를 거부하는 북한 선박의 입항을 거부하도록 하는 조치입니다.
이와 함께 미국 등 유엔 회원국은 무기류 등 거래금지 품목을 북한에서 다른 나라로 운송하는 주요 북한 해운회사들을 제재명단에 포함했습니다.
유엔이 무기 운반을 이유로 북한 해운업체 원양해운관리회사(OMM)를 제재 대상에 추가한 시점을 전후해 이 회사 소속의 북한 선박 3척의 이름이 바뀐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와 관련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산하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단은 제재를 회피하기 위한 교란행위라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당시 유엔 대북제재위원회 관계자는 선박의 해상이동업무 식별부호나 이름이 바뀌더라도 국제해사기구(IMO)가 부여하는 선박번호는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완전히 다른 배로 탈바꿈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