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탈북 연고자 ‘64호 대상’ 분류 감시

0:00 / 0:00

앵커:북한 보위부당국이 최근 탈북자 가족들을 '64호 대상'으로 분류하고 밀착 감시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국에서 돈도 받지 못하게 대부분 오지에 추방시키고 감시한다고 하는데요, 정영기자가 보도합니다.

최근 함경남도 함흥에서 국경지방으로 여행 온 50대의 한 행정직 공무원은 "한국으로 나간 탈북자 가족을 여기서는 64호 대상으로 부르고 있다"며 최근 북한 정부의 탈북자 잔류가족 처우 정책을 6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이 소식통은 왜 탈북 연고자를 64호 대상이라고 부르는 지에 대해서는 특별히 밝히지 않았습니다.

그는 "이미 각급 보위부에서는 남조선으로 간 탈북자에 대한 신분조사 문건을 이미 다 만든 상태"라면서 "과거 미해명으로 남아 애매하게 행불자로 처리되었던 사람들도 복수의 증인들을 통해 사망자와 탈북자로 다 분류했다"고 언급했습니다.

지난 1990년 중반과 2000년대를 거쳐 발생한 대규모 탈북으로 인해 북한에는 행방불명자가 많았지만, 북한으로 돌아간 탈북자를 통해, 그리고 대남 연락선을 통해 보위부가 이미 탈북자 명단을 상당수 확보했기 때문에 계층 분류를 끝냈다는 설명입니다.

그는 "탈북자 가족으로 판명된 사람들을 외딴 오지로 추방시켜 외부와 완전 격리시켜 놓았다"면서 "보위부의 목적은 가족들이 한국으로 나간 탈북자로부터 돈을 받지 못하게 차단하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탈북자 가족들이 돈을 받아 일반 주민들보다 잘살 게 되자, 주민들 속에서는 한국에 대한 동경심이 살아나고, 빈부격차에 대한 상대적 박탈감이 생기면서 주민이 동요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라는 겁니다.

북한 보위부 당국은 이처럼 탈북자 가족들을 외딴 곳에서 농사일과 탄광 일에 종사시키면서도 "경력이 복잡한 사람들이라도 차별 없이 대해주는 게 노동당의 '인덕 정치' '김정은 인민사랑'의 정치라고 강조하고 있다"고 그는 전했습니다.

비록 감옥에 보내지 않았지만, 외부와 격리된 감옥 같은 곳에 보내 감시를 붙이면서도 '인민사랑'으로 포장하고 있다는 겁니다.

함북도 길주군에 가족이 있는 미국 정착 탈북자 한 씨도 자신의 가족도 외딴 오지로 추방당한 것을 겨우 수소문해 찾아냈다면서 "얼마 전 사람을 시켜 집에 연락을 보냈는데, 보위부와 노동당의 감시가 이만 저만 세지 않았다"고 반응했습니다.

한 씨는 북한의 감시 체계를 우습게보면 오산이라고 말하면서 1990년대 식량난 이전 시기만큼 감시체계가 강화됐다고 혀를 찼습니다.

그는 자신의 가족이 사는 곳엔 전기도 없고, 텔레비전 방송도 없는 사실상 감옥이나 다름없는 곳이라고 말했습니다.

최근 북한이 관광 상업을 개발하고 외국인들에게 휴대전화도 가지고 평양에 들어가게 조치하는 등 대외 개방으로 변했다는 일부 평가도 있지만, 내부 주민들은 여전히 옥죄고 있다는 방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