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미국 정부는 한국과 일본 간의 위안부 문제가 28일 극적으로 타결됨으로써 향후 대북 안보 공조가 강화될 것이라며 환영을 표명했습니다.
양희정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한국과 일본 양국 간 오랜 갈등의 씨앗이었던 2차대전 당시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28일 한∙일 외무장관 회담에서 사실상 타결됐습니다.
미국 정부는 이날 한국의 윤병세 외교부장관과 일본의 기시다 후미오 외무상이 서울에서 가진 양국 외무장관회담에서 이 문제의 종결에 합의한 데 대해 환영했습니다.
백악관 수전 라이스(Susan Rice) 국가안보보좌관은 이날 성명을 통해 한일 양국이 위안부 문제가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으로’ 해결됐다는 것을 명확히 했다며 환영한다고 말했습니다. 성명은 그러면서 미국은 한일 양국과 3자간 안보 협력의 진전을 비롯해 광범위한 지역적∙국제적 문제에 있어 협력을 강화해 나가길 희망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따라서 미국 정부는 2차대전 당시의 위안부에 대한 비극적 처우와 관련해 양국이 합의를 철저히 이행할 것을 지지한다고 성명은 밝혔습니다.
존 케리 국무장관도 이날 성명을 통해 한일 간 위안부 문제 타결을 환영했습니다. 미국의 중요한 두 동맹국들이 과거를 치유하고 관계를 증진시킬 수 있는 합의가 될 것이라는 설명입니다.
이날 열린 전화기자설명회에서 국무부의 한 고위관리는 북한에 대해서 미국의 두 주요 동맹국 간의 완전한 협력을 방해하는 요소가 사라졌다고 말했습니다.
고위관리: 북한을 보십시오. 북한은 비핵화를 위한 6자회담의 5개국 간의 분열을 조장하고 한일 간의 위안부 문제 갈등을 이용해 이득을 취해 왔습니다.
이 고위관리는 이제 한일 양국이 과거의 해결되지 않은 문제 때문에 방해 받는 일 없이 완전히 단합된 노선을 제시할 수 있게 된 것은 안보 협력에 있어 큰 진전이라고 말했습니다. 미국과 동맹국 사이에, 혹은 한국과 일본이라는 미국 동맹국들 사이에 완전하고 제약 없는 협력(full and unfettered cooperation)을 막고 전략적 손실을 가져오는 요소가 해결됐다는 설명입니다.
한편, 미국 워싱턴의 정책연구소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빅터 차(Victor Cha) 한국석좌도 이날 자신의 분석을 발표한 글에서 위안부 문제 타결로 한국의 박근혜 정부와 일본의 아베 정권이 양국 간의 군사정보 공유 등을 통해 지역안보 문제에 있어서 미국과의 삼자 공조를 강화해 나가는 관계정상화의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