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한국의 박근혜 대통령은 22일 외교부와 국방부, 통일부 등 3개 부처로부터 연두 업무보고를 받았습니다. 박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북한 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북한을 뺀 5자 회담 개최를 거론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한국 정부가 대응 방안을 놓고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한국 외교부와 국방부, 통일부는 22일 오전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북핵 해결을 최우선 과제로 설정했습니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부처별 업무보고에서 “4차 핵실험 대응과 북한 비핵화 및 행동변화를 위한 압박외교를 올해 외교정책 기조로 삼겠다”고 말했습니다.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전방위 국방태세 확립을 통해 북한의 추가 핵도발과 국지도발 등 다양한 위협에 대비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반면 홍용표 통일부 장관은 ‘새로운 한반도를 위한 남북관계 재정립´을 강조했습니다.
홍용표 장관: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 ´통일준비의 지속´이라는 기조를 유지하는 가운데, 올 2016년 통일부는 ´올바른 남북관계 정립과 실질적인 통일준비´를 목표로 정책을 추진하겠습니다.
이날 업무보고를 받은 박근혜 대통령은 “북한을 제외한 5자회담을 시도하겠다”고 밝혀 눈길을 끌었습니다.
박근혜 대통령: 관련 당사국들이 있어서 쉬운 문제가 아니겠지만 6자회담만이 아니라 북한을 제외한 5자회담을 시도하는 등 다양하고 창의적인 접근방법을 찾아야 할 것입니다.
박 대통령은 또 “북한이 변화할 수밖에 없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며 대북제재를 위한 중국의 협조를 구했습니다.
박근혜 대통령: 중국은 그동안 한반도의 핵은 절대 용납할 수 없다는 강력한 의지를 수차례 밝혀왔는데 효과 있는 조치를 해주기를 기대합니다.
박 대통령은 아울러 “북핵 문제의 근본적 해결은 결국 통일이라는 점에서 통일 노력을 꾸준히 전개해나가야 한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