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 일본정부는 중국이 제안한 6자 회담 개최에 대해 “북한이 한국을 포격하는 상황에서는 무리”라고 부정적인 입장을 표명했습니다.
도쿄에서 채명석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중국이 6자 회담을 12월 상순에 개최하자고 제안한 데 대해 일본 외무성의 고위관리는 “북한이 한국을 포격하는 상황에서는 무리”라며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다고 일본 언론이 전했습니다.
후쿠야마 데쓰로 관방부장관도 28일 “한국, 미국과 연대해서 신중히 대응하겠다”고 말하면서 “북한의 포격을 받은 한국의 의사를 중시하고 미국과 협의해서 일본정부의 대응을 결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일본 언론들은 한국이 이미 6자 회담 개최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중국에 밝혔고 미국도 중국의 제안에 신중한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북한이 연평도 포격 사태에 대한 사죄는 물론 핵 포기에 대한 구체적인 행동을 보이지 않는 한 6자 회담에 응하지 않는다는 것이 일본 정부의 기본 입장이라고 보도했습니다.
한편 후쿠야마 데쓰로 관방부장관은 한국의 이명박 대통령이 29일 발표한 ‘대 국민 담화문’을 적극 지지한다고 밝히고, 일본정부도 연평도 포격 사태에 대해 보다 강경한 대북 비난 성명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일본언론들도 이명박 대통령의 담화문을 이날 대대적으로 보도했습니다. 아사히 신문은 ‘이 대통령의 담화, 여론을 배려해서 강한 비난’이란 제목으로 한국 국내에서 고조된 반북 감정을 고려한 대북 비난 성명이라고 보도했습니다. 니혼게이자이 신문은 “북한이 태도를 굽히지 않은 한 한반도의 긴장은 당분간 높아질 것”이라고 예상하면서 “중국의 북한 설득이 사태 해결의 관건”이라고 보도했습니다.
한편 간 나오토 총리는 29일 일본을 방문중인 한일의원연맹 소속 국회의원들을 만나 “일본정부는 한국, 미국과 긴밀히 협력해서 연평도 포격 사태에 단호히 대처해 갈 방침”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간 총리는 또 한국의 이명박 대통령이 11월 중순경 일본을 방문할 예정이라고 말하면서, 조선왕실 의궤 등 도서 1,205권을 한국에 돌려주는 한일도서 협정이 그때까지 국회에서 비준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한편 간 내각은 한반도에서 만일의 사태가 발생했을 때는 전 각료가 1시간 이내에 소관부처에 출근하도록 하는 비상 대기 체제를 한미 합동훈련이 끝나는 12월1일까지 계속할 방침입니다.
일본 방위성도 PC3 초계기, EP3 전자정보 데이터 수집기, 공중조기경제관제기(AWACS) 등을 동원해 당분간 북한에 대한 정보 수집 활동을 계속할 방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