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전체 없어져야 한다는 뜻 아니다”

0:00 / 0:00

앵커: 하루 전 '북한은 빨리 없어져야 한다'고 말했던 한국의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이 13일 자신의 발언에 대해 해명했습니다. 북한 전체가 없어져야 한다는 게 아니라 북한 정권의 그릇된 행태가 빨리 없어져야 한다는 뜻이었다는 겁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은 빨리 없어져야 한다’는 취지의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의 발언을 놓고 남한 사회에서는 “일정 부분 수긍이 간다”는 반응과 함께 “적절치 않다”는 비판도 나왔습니다.

이른바 ‘신뢰 프로세스’로 불리는 남측 대북정책의 진정성을 의심하게 할 수 있다는 게 비판론의 핵심입니다. 여당인 새누리당의 한 의원은 대변인의 경질을 요구하기도 했습니다.

이렇게 되자 김 대변인은 13일 해명을 내놓습니다. “북한 전체”가 없어져야 한다는 게 아니라 북한의 그릇된 “행태”가 문제라는 이야기를 하고자 했다는 겁니다.

표현상의 문제는 인정한 셈입니다. 하지만 발언의 내용은 하루 전과 비교할 때 큰 차이가 없습니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 북한 주민들 너무나 힘들고 마음이 우리도 안타깝지 않습니까? 그런 차원에서, 조금 더 잘 됐으면 좋겠다는 차원에서 말씀드린 것입니다. 그래서 북한 전체가 아니고 현 북한 정권의 그 행태, 그것에 대해서 말씀드린 것입니다.

김 대변인은 “국가란 국민이 행복을 실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게 기본 임무인데 북한 정권은 전혀 그렇지 않다”면서 “인권유린을 마음대로 하고 있지 않으냐”고 반문했습니다.

한편, 북측 국방위원회는 13일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의 발언을 “전면적 체제대결 행태”로 규정하고 ‘전민보복전’을 위협했습니다.

그러나 북측은 구체적으로 어떤 행동을 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지난 12일 김민석 대변인은 북측의 이어지는 거짓말과 인권 침해, 자유권 침해 등을 거론하며 북한은 “빨리 없어져야 한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이날 발언은 소형 무인기 3대가 모두 북측에서 발진했다는 남측의 지난주 최종 조사결과 발표를 북측이 부인하자 이를 김 대변인이 비판하는 과정에서 나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