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의 탄도미사일 시험발사로 유엔의 대북제재가 더 강화되는 상황에서 남측 정부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틀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남북 민간교류를 검토하겠다고 밝혀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진보성향의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면서 대북정책에도 변화의 조짐이 일고 있습니다. 남북관계 주무부처인 통일부는 22일 오전 정례 기자회견에서 “남북 민간교류를 검토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이덕행 통일부 대변인: 현재 남북관계의 단절은 한반도의 안정 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지 않다고 판단합니다. 그래서 민간교류 등 남북관계 주요 사안들에 대해서는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틀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유연하게 검토해 나갈 생각입니다.
우선 대북 인도적 지원사업이나 체육 분야 등에서 남북교류가 성사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가장 먼저 태권도 교류가 유력합니다.
6월 말 전라북도 무주에서 열리는 2017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에 북한 태권도 시범단이 방문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덕행 통일부 대변인: 북한이 주도하는 단체가 세계태권도연맹 ITF이잖아요. 거기에서 우리 태권도연맹 WTF 측에 이번에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시범단을 파견하겠다는 의사를 전달해온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남측 민간단체의 대북접촉 신청은 아직 10건 미만이지만, 문재인 정부의 출범을 전후로 신청이 계속 늘고 있습니다.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본부' 등 대북 민간단체는 통일부가 대북접촉 신청을 승인하는대로 인도 지원사업과 관련해 북한과 접촉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홍상영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사무국장: 남북교류가 되기 위해서는 정부가 나서기보다는 우리 민간단체가 먼저 물꼬를 트는 게 필요할 것 같습니다.
하지만 통일부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등 도발에 대해서는 강력히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혀 대북 민간교류와는 분명하게 선을 그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