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문 대통령 대화 제의 호응할까?

0:00 / 0:00

앵커 : 남측 문재인 대통령이 "북측이 핵과 미사일의 추가 도발을 중단하면 대화에 나설 수 있다"고 약속했는데요. 북측이 문 대통령의 이번 대화 제의에 어떤 반응을 보일지 주목되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이 핵과 미사일의 추가 도발을 중단한다면 북한과 조건 없이 대화에 나설 수 있음을 분명히 밝힙니다.”

지난 15일 6·15 남북공동선언 17주년 기념식에 참석한 남측 문재인 대통령이 북측을 향해 남북대화를 촉구하고 있습니다. 남측 정부는 16일 오전에도 북측의 호응을 재차 촉구했습니다.

이유진 통일부 부대변인: 북한이 도발을 중단하고 하루빨리 남북관계 개선의 길로 나올 것을 희망합니다.

남측 정부가 사실상 대화를 제안하면서 북측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 주목되고 있는 가운데 북측은 아직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남측이 남북대화의 조건으로 ‘추가 도발 중단’을 요구했다는 점에서 북측도 신중하게 접근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김용현 동국대 교수: 도발하지 않으면 남북대화에 나설 수 있다는 문 대통령의 얘기는 북한으로서도 고민되는 부분일 겁니다. 남북관계 차원에서 어떤 식으로든 답을 줘야 해서 북한도 상당히 고민한다고 봐야 되겠죠.

‘도발 중단’이라는 전제를 달았지만 남측 정부가 과거 비핵화 의지를 대화의 전제조건으로 내세웠던 것을 감안하면 기존의 입장보다는 다소 완화됐다는 평가입니다.

그럼에도 북측의 핵 개발과 미사일 시험발사는 사실상 미국을 겨냥한 것이어서 북측이 도발을 중지하고 남북 대화에 나서기는 어려울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서유석 북한연구소 연구위원: 북한은 미사일과 핵 문제를 남북관계의 변수로 보지 않습니다. 북미관계를 염두에 두고 진행하는 것입니다. 때문에 북한이 남한 새 정부와의 관계 개선을 위해 핵 실험과 미사일 발사를 중단할 가능성은 적다고 봐야 합니다.

또 추가 도발을 하지 않으면 북미 관계 정상화까지 논의할 수 있다는 문 대통령의 발언을

북측이 어떻게 볼지도 관심거리입니다.

문 대통령의 이 발언은 이달 말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을 염두에 두고 나왔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나온 문 대통령의 대화 제의가 남북 관계에 어떤 변수로 작용할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