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9일 판문점서 실무접촉하자”

0:00 / 0:00

앵커 : 한국의 박근혜 정부가 출범한 이후 처음으로 남북 양측이 당국간 대화를 준비하고 있는 가운데 실무접촉 장소를 어디로 할 건지를 놓고 미묘한 신경전을 펼치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남북 장관급 회담을 위한 실무접촉을 개성에서 갖자는 북한과 판문점에서 하자는 남한이 접점 찾기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장소 선정을 둘러싼 미묘한 신경전은 북측이 먼저 시작했습니다.

북한은 6일 당국간 대화를 제안하면서 회담 시기와 장소 결정을 남측에 일임했지만, ‘서울에서 12일 상급(장관급) 회담을 열자’고 남한 정부가 화답하자 하루 만에 상급회담을 위한 실무접촉을 먼저 하자고 역으로 제안한 겁니다.

실무접촉의 시기와 장소도 6월 9일 개성으로 못박았습니다. 북측의 이 같은 역제안은 7일 오전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대변인의 조선중앙통신 회견에서 나왔습니다.

남한은 7일 오후 2시 판문점 적십자 연락 통로가 재개되자 곧바로 북측의 제안에 응하겠다고 답했습니다. 다만, 접촉 장소를 개성이 아닌 판문점 남측 지역 ‘평화의 집’에서 하자고 제의했습니다.

시간은 9일 오전 10시로 하고, 통일부 국장을 수석대표로 한 3명의 당국자가 실무접촉에 참여하겠다고 했습니다.

서유석 북한연구소 연구위원 : 그간 금강산이나 개성에서 아무런 부담감 없이 회담을 해왔기 때문에 지금 우리 정부가 장소 선정을 놓고 이렇게 하는 것이 너무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도 들 수 있겠는데요. 그러나 이명박 정부 때부터 그것을 바로 잡겠다고 했고, 현 정부도 그렇게 하는 것 같습니다.

이 같은 남한의 역제안에 북한은 아직까지 반응하지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남한은 현재 청와대와 통일부가 중심이 돼 실무접촉 준비에 들어간 상태입니다.

또 국방부도 전군 지휘관회의를 열고 한반도 신뢰 구축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위용섭 국방부 공보담당관: 북한의 남북대화 제의는 한반도의 평화 안정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우리 군도 이러한 상황이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 구축에 기여할 수 있도록 확고한 군사대비태세로 뒷받침해나갈 것입니다.

전문가들은 9일로 예상되는 실무접촉에서 개성공업지구 운영 중단의 책임 소재와 재발 방지책 등을 놓고 남북이 치열한 신경전을 벌일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또 북한이 당국 간 회담의 장소와 급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고 회담의 성격을 조정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