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부 “회담 제안, 비핵화 대화와 달라”

0:00 / 0:00

앵커 : 한국 정부가 북한에 대한 군사회담과 적십자회담 제의는 비핵화를 목적으로 하는 대화와는 구분된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습니다. 이번 회담 제의는 초기적 단계의 접촉으로, 한미 간에 인식 차가 없다는 겁니다.

서울에서 김은지 기자가 보도합니다.

19일 국정과제 보고대회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은 한국이 한반도 문제의 주인임을 분명히 하고 국제사회와의 굳건한 공조 속에 남북관계에서도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이산가족 상봉, 군사회담 제의 등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조치들도 시작하고 있습니다. 남북관계의 개선은 북 핵 문제 해결에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한국 정부는 지난 17일 북한에 군사분계선 일대에서의 적대행위 중지를 위한 군사당국회담과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위한 적십자회담을 제안했습니다. 지난 해 2월 이후 단절된 남북간 연락 채널 복원도 서두르고 있습니다.

문 대통령은 여야 4당 대표를 만난 자리에서 회담 제의 배경에 대해 남북 간 ‘핫라인’, 직통전화를 재개하는 방안 등을 논의하기 위해 군사회담을 제안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와 함께 한미 정상회담에서 비정치적, 인도적 분야에서는 한국 주도의 역할을 하기로 합의했다며 이번 회담 제안도 이미 미국과 일본에 통보했으며 미국과도 공감이 됐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해 한국 통일부는 이번 회담 제의는 인도적 문제 해결과 긴장완화를 위한 초기 단계의 접촉으로,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본격적인 대화와는 다르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습니다.

이유진 통일부 부대변인은 19일 기자 설명회에서 북한과 비핵화 대화를 재개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여건이 조성돼야 한다는 데 한미일 간 확고한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한국 정부가 제안한 군사당국회담 개최일이 이틀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북한은 회담 제의 사흘째인 19일 오후까지도 아무런 반응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