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남북이 10시간이 넘는 마라톤 실무접촉 끝에 다음달 11일 개성에서 당국회담을 갖기로 합의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남북은 26일 판문점 북측 지역인 통일각에서 당국회담을 위한 실무접촉을 갖고 다음 달 11일 개성에서 차관급 당국회담을 열기로 합의했습니다.
남북은 당국회담을 위한 실무접촉이 끝난 직후인 27일 새벽 2개항으로 이뤄진 공동보도문을 발표했습니다. 공동보도문에서 남북은 "남북당국회담을 2015년 12월 11일 개성공단지구에서 개최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남북은 또 "회담 대표단은 차관급을 수석대표로 해 각기 편리한 수의 인원들로 구성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회담 의제와 관련해 남북은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현안문제'로 합의하고, 당국회담 개최를 위한 실무적 문제는 판문점 연락관 사무소를 통해 협의하기로 했습니다.
앞서 통일각에서 열린 이날 실무접촉에서 양측은 대표단 구성, 회담 개최 시기, 장소, 의제 등에 대해 협의했습니다.
남북은 시작부터 신경전을 벌였습니다. 예상대로 당국회담 수석대표의 격(格)이 문제였습니다. 남쪽은 통일부 장관과 노동당 통일전선부장 간의 회담을 주장했고, 북쪽은 통일전선부장 대신 조평통 서기국장으로 하자고 제시했습니다.
아울러 회담 의제를 놓고도 견해차를 보였습니다. 남쪽은 이산가족 문제의 근본적 해결에 초점을 둔 반면 북쪽은 5·24 제재 해제와 금강산관광 재개 등을 주장하면서 맞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 회담 시기와 장소에서도 이견이 있었습니다. 남한 측은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서울에서 열자고 제안했고, 북한 측은 평양이나 제3의 장소를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안찬일 세계북한연구센터 소장 : 북한이 지난 8.25 고위급회담 때는 대북 확성기방송 때문에 다급해서 합의했지만, 이번 실무접촉에서는 회담의 격을 갖고 계속 물고 늘어지고 있습니다. 이는 북한이 이번 당국회담에 대해 크게 기대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해석됩니다.
이날 실무접촉은 원래 서울시간으로 오전 10시 30분에 진행될 예정이었지만, 통신선 문제로 2시간 이상 지연돼 오후 12시 50분께 시작됐습니다.
실무접촉 수석대표로 남한 측에서 김기웅 통일부 남북회담본부장이 북한 측에서는 황철 조평통 서기국 부장이 나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