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니 해킹 제재로 북한 주민만 힘들 것”

0:00 / 0:00

앵커: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2015년 새해 국정연설에서 사이버 안보강화를 새로운 국정 과제로 꼽았습니다. 오바마 대통령이 비록 북한을 거론하지 않았지만, 소니 영화사 해킹을 염두에 둔 조치라고 미국에 정착한 탈북자들은 지적했습니다.

정영기자가 보도합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2015년 새해 미국이 나아갈 주요 전망을 밝히는 국정연설에서 사이버 안보, 즉 컴퓨터 보안체계에 대해 특별히 강조했습니다.

오바마 대통령: 어떤 외국이나 해커도 미국의 인터넷망을 마비시키거나 무역 비밀을 절취해가도록 해선 안 됩니다. 또 미국 가정, 특히 아동의 사생활을 침해할 수 없도록 해야 합니다.

오바마 대통령의 연설 중에는 북한이라는 이름이 거론되지 않았지만, 최근에 있은 소니 영화사에 대한 북한의 사이버 테러가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고 보는 게 미국 내 탈북자들의 견해입니다.

미국 동부 버지니아주에 거주하고 있는 한 씨 여성의 말입니다.

한 씨 여성: "미국의 소니 회사가 해킹을 당했는데, 저는 불 보듯 뻔하다고 봅니다. 영화를 만든 데 대해 김정은이 많이 두려워하고 또 미국에 자기 위력을 과시하기 위해서, 그리고 내부 주민들에게 자기 위력을 나타내기 위해서…"

한 씨는 이 같은 견해는 자기뿐이 아니라 대부분 탈북자들의 견해라며, 그렇지 않다면 영화사를 해킹할 이유가 없다고 단언했습니다.

미국의 안보 전문가들은 소니사가 해킹당한 직후 정밀분석을 통해 북한의 소행임을 밝혀냈고, 오바마 대통령은 "비례적 대응"을 하겠다고 천명한 바 있습니다.

또 김정은 정권이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 해킹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데 대해서도 비정상적이라고 한 씨는 못 박았습니다.

한 씨: "해킹을 하려고 연구하고 투자하지 말고 백성을 위해 신경을 쓴다면 진짜 대통령(지도자)이 되면 좋지 않겠습니까"

미국 워싱턴 디씨에 소재한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는 북한의 사이버 인력은 북한군 '정찰총국(RGB)'과 '총참모부(GSD)'가 주도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특히 정찰총국 산하에는 약 5천900명의 사이버 전사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한편, 미국이 소니 해킹을 계기로 북한에 강도 높은 제재를 가할 경우, 주민들의 삶은 더 어려워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습니다.

미국 동부에 사는 탈북자 조 씨는 "지금 전기가 없어 열차가 다니지 못하는 상황에서 주민들은 하루하루 힘들게 살고 있다"면서 앞으로 미국이 강도 높은 제재를 실시할 경우, 일반 주민만 어려워질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 2일 행정명령을 통해 북한의 정찰총국 등 사이버 공격 관련 기관과 개인을 대상으로 대북제재 조치를 지시한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