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니 해킹, 정찰총국•총참모부 합작”

0:00 / 0:00

ANC: 소니 해킹 공격이 북한 당국의 주도하에 조직적으로 이뤄졌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보도에 홍알벗 기자입니다.

미국 워싱턴의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는 지난 18일, 소니 해킹 공격을 비롯한 모든 북한의 사이버테러는 당국의 주도하에 이뤄졌다고 밝혔습니다.

연구소 산하 한국석좌연구원(Korea Chair)측은 1년여에 걸친 연구조사결과 북한에 의해 저질러지는 사이버공격은 북한군 ‘정찰총국(RGB)’과 ‘총참모부(GSD)’가 주도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연구소는 특히 정찰총국은 2010년 천안함 폭침을 비롯해 1983년 미얀마 랑군 폭파사건과 1968년 청와대 습격사건을 주도한 기관으로 현재 약 5천900명의 ‘사이버 전사(cyber warriors)’를 육성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특히 이 정찰총국은 목표물을 상대로 사이버 도발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조직체를 운영하고 있는데, 그것이 바로 ‘121(백이십일국)’이라고 주장했습니다.

121국과 함께 ‘110호 연구소’라 불리는 조직도 북한의 해킹 테러와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전략국제문제연구소는 또 121국과 110호 연구소 간의 정확한 관계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지난해 한국의 은행과 언론사를 대상으로 한 사이버 공격도 이 두 기관이 저질렀던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전략국제문제연구소는 북한군 총참모부를 청찰총국과 함께 사이버전을 총괄하는 부서로 보고 있습니다.

연구소측은 총참모부의 역할에 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총참모부를 북한인민군 직속 또는 북한국방위원회 직속기관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연구소는 또 참모부가 어느 기관 산하에 있든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직접적인 감독을 받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전략국제문제연구소는 내년 봄 북한의 사이버도발에 관한 내용을 담은 ‘북한의 사이버공격 능력’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