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 확성기 방송 전면적 확대할 것”

0:00 / 0:00

앵커: 남한의 한민구 국방부 장관이 12일 국회 국방위원회에 출석해 "대북 확성기 방송을 전면적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국회 국방위원회는 북한의 지뢰 도발을 규탄하는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남측 군 당국은 이달 중으로 대북 확성기 방송을 전면 확대해 시행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난 4일 북한의 ‘목함지뢰’ 도발 사건에 대한 대응 조치로 10일부터 접경지역 2개소에서 대북 확성기 방송을 시작한 데 이어 이를 전 전선에 걸쳐 실시하겠다는 뜻입니다.

한민구 국방부 장관(국회 국방위원회): 우선 조치로 2개소에서 했는데, 전면적으로 확대해 나갈 것입니다.

대북 확성기 방송 장비는 북한과의 접경지역 11곳이 설치돼 있습니다. 대북 확성기 방송은 지난 2004년 6월 남북합의로 중단됐지만, 2010년 3월 천안함 사건 이후 한국 정부는 재개 방침을 세우고 방송 준비를 끝낸 상태였습니다.

북한이 ‘혹독한 대가’를 치르도록 하겠다면서 내놓은 대책이 확성기 방송 재개뿐이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다양한 후속 조치를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생필품을 대형풍선에 담아 북한 지역에 보내는 이른바 ‘물포(物布) 작전’이나 대북 전단 살포, 그리고 대북 전광판 활용 방안 등을 “검토 중”이라고 한 장관은 설명했습니다.

한편, 이날 국회 국방위원회는 북한의 지뢰 도발을 규탄하고 정부의 단호한 대응을 주문하는 내용의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습니다. 결의안은 북한의 DMZ 내 지뢰 매설을 ‘명백한 군사도발 행위'로 규정하고 이 사태를 “결코 용납할 수 없다”면서 북한의 즉각 사과와 책임자 처벌, 그리고 재발방지 약속을 촉구했습니다.

이에 앞서 여당인 새누리당은 당 소속 전원의 명의로 '북한군 DMZ 지뢰도발 행위 규탄 결의안'을 당론으로 발의했으며, 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도 비슷한 내용의 결의안을 당론으로 채택했습니다.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채택된 대북 결의안은 이르면 오는 13일 국회 본회의에서 다뤄질 전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