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주민상대 간첩사건 조작

0:00 / 0:00

앵커 : 북한당국이 불법휴대전화를 사용한 주민들을 체포해 간첩혐의를 적용한 사건이 최근 함경북도 라선시에서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단순히 불법휴대전화를 사용했다는 이유로 간첩죄를 씌운데 대해 현지 주민들의 비난이 거세지고 있다고 소식통들은 전했습니다.

북한 내부 소식 김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 언론들이 지난 3월 26일 한국국가정보원의 임무를 받은 남한 간첩들을 체포했다며 ‘기자회견’ 소식을 크게 보도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최근 북한내부에서 불법휴대전화를 사용한 주민들을 간첩으로 몰아세우는 소동이 벌어지고 있다고 복수의 함경북도 소식통들이 언급했습니다.

함경북도의 한 소식통은 지난 3월 29일 “요즘 갑자기 ‘반간첩투쟁’과 관련한 인민반회의가 자주 열리고 있다”며 “사법기관 간부들이 직접 인민반들을 돌며 라선시에서 일어난 ‘간첩사건’의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이야기했습니다.

“함경북도 당국은 각 지역, 인민반 주민들을 모아놓고 라선시에서 일어난 ‘간첩사건’을 요란하게 떠들고 있는데 무슨 이유에서인지 아직까지 언론을 통해서는 이 사건을 일절 언급하지 않고 있다”고 소식통은 지적했습니다.

이와 관련 함경북도의 또 다른 소식통은 “라선시 ‘간첩사건’은 ‘라선종합상업망’ 판매원 여성(20대)과 ‘라선관광버스사업소’ 차장(30대 남성)이 지난 2월 중국 조선족 사업가와 함께 체포된 사건”이라고 1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이 소식통은 간첩으로 체포된 조선족 최씨는 중국에서 개통된 불법휴대전화를 ‘라선종합상업망’ 판매원과 ‘관광버스사업소’ 차장에게 넘겨준 혐의를 받고 있는데 북한당국이 그를 간첩으로 몰아세우는 이면에는 그가 라선시에 대한 투자를 갑자기 중단한 배경이 깔려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투자 중단에 대한 북한당국의 보복성 조치라는 건데 “조선족 사업가 최씨와 ‘라선종합상업망’ 판매원은 무역관계로 많은 돈을 주고받은 사이일 뿐 특별히 간첩으로 볼만한 증거는 찾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한편 최근 연락이 닿은 함경북도의 또 다른 주민소식통도 북한 당국이 ‘간첩사건’과 관련해 “인민반회의 때마다 주민들에게 혁명적 경각성을 높일 것을 특별히 강조하면서 주변의 분위기가 몹시 살벌해졌다”고 말했습니다.

주민 소식통은 또 “얼마 전에도 무산군 ‘칠성세관’에서 한국국가정보원의 임무를 받은 간첩을 체포했다고 하는데 실제로는 ‘간첩’이 아니라 세관을 통해 불법휴대전화를 반입하려다 적발된 주민일 뿐”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소식통들은 “인민반회의에서 ‘간첩사건’을 설명하는 보안원들조차 체포된 사람들의 구체적인 혐의내용을 말하지 못하고 두루뭉술하게 얼버무리고 있다”며 “그로 하여 사법기관들이 일부러 ‘간첩사건’을 조작하는 것 아니냐는 주민들의 의혹과 비난의 목소리가 높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