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의 통일부는 20일 비방·중상을 중단해야 하는 대상은 북한이라고 다시 한 번 강조했습니다. 이 같은 반응은 북측 언론매체가 연일 남측을 상대로 이른바 '평화 공세'를 펼치고 있는 가운데 나왔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비방과 중상을 중단해야 할 당사자가 누구인지를 놓고 남북 양측이 공방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20일에도 한차례씩 공방을 이어갔습니다. 이날 북측의 로동신문은 ‘비방·중상 중지는 관계개선의 첫 걸음’이라는 제목의 개인 필명 글을 통해 지도부가 최근 강조하고 있는 논지를 반복했습니다. 남북관계 개선 분위기를 마련하려면 비방·중상을 중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겁니다.
남측의 통일부도 물러서지 않았습니다.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 비방·중상을 하고 있는 것은 북한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설까지 기다릴 것이 아니라, 일단은 당장 비방·중상이 중단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김 대변인은 북측이 “공식적인 보도매체”를 통해서 남측 정부를 실명 비난하는 행위부터 “당장 중단해야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김 대변인은 북측이 남측 언론사의 “정상정인” 보도 활동에 대해서도 비방·중상이라고 규정하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습니다.
하지만 김 대변인은 남측 정부가 대북 라디오 방송 등 정부 차원의 심리전 활동을 현재도 하고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통일부 대변인이 언급하는 게 적절치 않다고 생각한다”면서 답변을 피했습니다.
비방·중상을 중지하자는 제안은 지난 16일 북측이 국방위원회 이름으로 남측 당국에 보낸 ‘중대 제안’에 담긴 내용 중 하나입니다. 설 명절이 시작되는 30일을 기해서 상호 비방과 중상을 중단하자는 겁니다. 동시에 북측은 다음달 시작되는 한미 합동 군사훈련의 중단도 요구했습니다.
이후 남북 양측의 공방이 시작됐습니다. 남측 정부 관계자는 17일 북측의 제안을 이른바 “위장 평화공세”로 판단하고 사실상 거부했습니다. “군사적 도발을 하기 위한 명분 쌓기용”이라는 겁니다.
그러나 북측은 18일 '중대 제안'을 먼저 실행하겠다는 뜻을 밝히며 남한도 이에 부응하는 조치를 할 것을 촉구하는 등 남측을 상대로 하는 이른바 ‘평화 공세’를 지속했습니다.
이에 남측은 대통령이 나서서 다시 한 번 원칙적 입장을 강조합니다. 해외 순방 중인 박근혜 대통령은 현지시간으로 18일 인도 국빈 방문 일정을 마치고 스위스로 떠나기 전 북한의 이른바 ‘중대 제안’을 “대남 선전 공세”라고 규정하고 “확고한 대비 태세를 갖춰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박 대통령의 이 같은 반응은 북한이 반복해온 행태를 고려한 결과로 풀이됩니다. 이정현 홍보수석은 북한이 위장 평화 공세를 펼친 뒤 대남 도발을 자행한 경우가 많았다는 게 “역사적 경험”이라고 지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