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미 전략무기 한반도 상시 순환배치 검토"

0:00 / 0:00

앵커: 한미 군 당국은 제48차 안보협의회(SCM)을 열고 북한의 핵 위협에 맞서 미국의 핵폭격기 등 전략무기를 한반도에 상시 순환 배치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한국의 한민구 국방장관은 20일 미국 국방부 청사에서 미국 측과 안보협의회를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한국에 대한 미국의 확장억제 실행력을 높이는 추가 조치들이 검토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북한의 핵 위협에 대응해 취하는 조치들 중 하나가 미국의 스텔스 전투기와 핵 폭격기, 핵 잠수함 등 전략무기를 한반도에 상시 순환 배치하는 것이란 설명입니다.

한민구 장관 : (미국의) 전략자산의 상시 순환 배치를 포함해서 (앞으로 추가조치가 검토될 것입니다.)

이날 함께 기자회견에 나선 애슈턴 카터 미국 국방장관도 한국에 대한 미국의 강력한 방어공약은 확장억제로 보장될 것이라면서 이번 회의에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조치를 논의했다고 말했습니다.

확장억제란 미국이 동맹국에 대해 자국 본토와 같은 수준의 핵 억제력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카터 장관은 미국이나 동맹국에 대한 어떠한 공격도 격퇴될 것이라면서 북한을 비롯한 어떤 국가의 핵무기 사용에도 압도적이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애슈턴 카터 장관 : (북한) 김정은은 예측 불가능하고 도발을 좋아하는 성향입니다. 이번 회의에서도 (한국 측과) 북한의 도발 대응 계획을 협의했습니다.

한민구 장관도 북한은 불안정한 국가이고 리더쉽, 즉 지도력이 매우 의심스러운 상황이라면서 북한 비핵화를 위한 제재와 압박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대북 심리전 강화를 통해 세계의 상황과 한국의 실상, 북한 실상을 북한 주민들과 군인들에게 알리려고 애쓰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지난 15일과 20일 북한의 무수단 중거리 탄도미사일 시험발사 실패와 관련해 한민구 장관은 북한이 정치적 목적을 위해 미사일 발사를 추진했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북한이 성공할 때까지 무수단 미사일 발사를 계속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