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북, 실무회담 제의에 응하라”

0:00 / 0:00

앵커: 한국의 통일부가 대변인 논평을 내고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한 실무회담 재개를 거듭 촉구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개성공업지구 사태를 둘러싼 남북 간의 공방전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남북은 특히 서로 진정성이 없다며 상대 측을 비난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통일부는 21일 대변인 논평에서도 "북한이 남북 당국 간 실무회담에 호응하지 않는다"며 비판했습니다.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 우리 측이 제의한 당국 간 대화에는 응하지 않으면서 (북한이) 개성공단 정상화를 계속 언급하고 있는데, 개성공단에 대한 북한의 진심이 과연 무엇인지 묻지 않을 수 없습니다.

또 지난 16일과 18일 북한이 입주 기업들에 팩스를 보낸 것과 관련해서도 "한국 정부와 기업 간의 갈등을 유발했다"고 북한을 비난했습니다.

입주 기업들의 23일 방북에 대해선 남북 당국 간 실무회담이 먼저 이뤄져야 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김형석 대변인: 방북 인원이 243명 정도 되니까 구체적으로 신변안전 보장과 그다음에 군사지역을 통과하는 통행문제와 관련해서 당국 간 협의가 필요하기 때문에..

북한도 개성공업지구 사태에 대한 근본적인 입장부터 밝히라고 한국 정부를 압박하고 있습니다.

북한이 주장하는 근본적인 입장은 입주 기업의 완제품과 원부자재 반출 문제가 아닌, 개성공업지구 정상화 문제를 말합니다.

북한은 특히 개성공업지구 사태와 관련해 '남조선 민심'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들고 나왔습니다.

조선중앙TV: 남조선 민심이 요구하는 것은 단순히 개성공업지구 제품 반출이 아니라 바로 개성공업지구의 정상화이다. (남한 당국이) 개성공업지구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의사가 있는가 없는가를 내외 앞에 밝혀야 할 때이다.

그러나 한국 정부는 개성공업지구 사태의 재발방지 대책 없이 공업지구 정상화를 추진할 수 없다는 원칙론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개성공업지구 사태 책임을 지고 남북 당국의 책임 공방이 계속되는 가운데 애꿎은 입주 기업들만 피해를 보고 있습니다.

입주 기업들은 책임의 소재를 따지기보다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업인들의 방북이 이뤄져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