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정권이 북한 내부에서 테러가 발생할 가능성에 대해서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 내부소식 문성휘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북한 당국이 각 인민반을 통해 인민보안부 특별경고문을 주민들에게 회람시키고 있다고 복수의 현지 소식통들이 전했습니다. “특별경고문은 불법적인 폭발물을 소지하거나 제조하는 행위를 엄벌에 처한다는 내용”이라고 소식통들은 강조했습니다.
24일 양강도의 한 소식통은 “건설용 폭약이나 인화성 물질을 불법적으로 소지하고 있는 자들은 해당 기관에 즉각 바치라는 내용의 인민보안부 ‘특별경고문’을 매 가정세대들에서 열람시키고 수표(사인)를 받고 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특별경고문’의 내용은 기존처럼 인민반회의를 열어 주민들에게 전달하는 방식이 아니고 인민반장들이 직접 매 가정세대들을 방문해 ‘특별경고문’의 내용에 위반될만한 사항이 없음을 확인하는 란에 서명을 받는 방법으로 전달하고 있다고 그는 설명했습니다.
북한 사법당국이 왜 인민반회의를 열지 않았는지에 대해 소식통은 “요즘은 주민들이 모이면 근거 없는 유언비어를 퍼뜨리고 간부들을 비난한다는 이유로 동네사람들이 끼리끼리 모이는 것을 단속하고 있다”고 그는 말했습니다.
“지금까지 양강도 주민들은 건설장들에서 몰래 폭약을 빼내거나 질소비료를 원료로 해서 폭약을 제조하는 행위를 별다른 범법행위로 생각지 않고 있다”고 전제한 소식통은 “흔히 깊은 강에서 물고기를 잡기 위해 폭약을 빼내거나 제조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와 관련 자강도의 한 소식통은 “인민보안부가 ‘특별경고문’까지 돌리며 불법폭발물을 회수하려는 것은 7차당대회를 앞두고 혹시 있을지 모를 내부 적대분자들의 파괴행위를 사전에 예방하려는 목적”이라고 22일 자유아시아방송에 언급했습니다.
그러한 근거로 소식통은 북한 당국이 최근 만포시 세관을 통해 중국으로부터 일체 무선조종 완구류들을 들여오지 못하도록 조치했다며 장마당에서 팔고 있는 무선조종 놀잇감(완구)들도 무조건 회수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무선조종 놀잇감을 회수하는 것은 자칫 내부적대분자들이 불순한 파괴행위에 이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하지만 소식통은 인민보안부의 ‘특별경고문’은 북한 주민들속에서 별로 효력을 보지 못할 것이라고 단언했습니다.
그 이유로 소식통은 “개인 장사꾼들이 팔고 있는 휘발유나 농사꾼들이 보관하고 있는 질소비료도 사실상 다 폭발물로 변화시킬 수 있다”며 “지금은 중국에서 액화가스가 많이 들어오기 때문에 대체 어디까지가 불법적인 폭발물인지 규정하기도 애매한 실정”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