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미국 의회가 크리스 힐 전 전 미국 측 6자회담 수석대표를 증인으로 불러 2008년 10월 당시 조지 부시 행정부의 북한에 대한 테러지원국 명단 해제 결정이 잘못이었음을 추궁할 예정입니다. 거듭된 군사적 도발 위협에 이어 영변 원자로 재가동 방침까지 도발 수위를 계속 높이고 있는 북한을 테러지원국에 재지정할 것을 요구하는 미국 의회의 요구가 점차 거세지고 있습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에 대한 테러지원국 재지정 요구가 점차 높아지고 있습니다.
지난 2월 북한의 제3차 핵실험 강행 직후 본격 제기돼 북한의 군사적 위협이 계속되고 급기야 원자로 재가동 움직임까지 나오면서 미국 의회를 중심으로 요구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미국 의회 소식통은 하원 외교위원회가 오는 11일 청문회를 열어 북한에 대한 테러지원국 재지정을 행정부에 촉구할 계획이라고 2일 RFA,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익명을 요구한 이 의회 소식통은 하원 외교위 산하 중동•북아프리카 소위원회 주관의 이 청문회에서는 북한의 이란, 시리아에 대한 핵•미사일 확산 시도가 광범위하게 다뤄질 예정이라며 이같이 전했습니다.
이 소식통은 특히 이번 청문회를 주재할 일리애나 로스-레티넌 위원장은2008년 조지 부시 행정부의 북한에 대한 테러지원국 명단 해제가 잘못이었음을 집중 추궁할 계획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당시 결정이 북한의 핵 시설 불능화 조치에 대응해 이뤄졌지만 결과적으로 북한이 약속을 파기한 데다 테러 지원국인 이란, 시리아와 핵 협력을 계속하고 있다는 겁니다.
로스-레티넌 위원장은 현재 미국 국무부의 테러지원국 명단에 올라 있는 이란, 시리아에 대한 핵, 미사일 협력은 테러지원국 재지정 요건에 해당한다는 입장입니다.
지난 2월 북한의 3차 핵실험 직후 테러지원국 재지정을 요구하는 법안을 제출한 바 있는 로스-레티넌 위원장은 크리스토퍼 힐 전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에게 증인 출석을 요청했고 힐 전 차관보는 이를 수락한 걸로 알려졌습니다.
로스-레티넌 위원장은 청문회에서 6자회담 미국 측 수석 대표로 부시 행정부의 대북 테러지원국 명단 해제에 깊숙이 관여했던 힐 전 차관보로부터 당시 결정이 잘못됐다는 증언을 직접 듣겠다는 방침으로 알려졌습니다.
한편, 상원 외교위원회 산하 동아태소위 공화당 간사인 마르코 루비오 의원도 이날 북한을 테러지원국에 재지정할 것을 오바마 행정부에 요청했습니다.
루비오 의원은 성명을 통해 북한이 이란 혁명수비대를 포함한 테러집단을 통해 테러지원국인 이란과 시리아를 지원해왔다며 이같이 주장했습니다.
데니스 핼핀 전 하원 외교위원회 아시아 담당 선임 보좌관은 이날 RFA, 자유아시아방송에 북한은 테러지원국에 대한 핵•미사일 확산 외에 직접 테러 행위에도 가담해왔다고 지적했습니다.
데니스 핼핀 전 보좌관: 북한은 그 동안 황장엽 전 북한 노동당 비서를 암살하려 시도했고 (김정일의 장남) 김정남에 대한 암살도 시도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비록 실패했지만 정치적 암살 시도는 테러행위에 해당합니다.
그는 북한의 거듭된 긴장 고조 행위에 대한 미국 의회의 대북 반감이 어느 때보다 강하다면서 북한을 테러지원국에 재지정해야 한다는 요구가 더 거세질 걸로 예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