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 정부가 사드와 관련해 확산되고 있는 소문과 추정에 우려를 표했습니다. 국방부는 다음 달 중순에 열리는 한미통합국방협의체 회의에서 사드 문제는 의제로 포함되지 않는다고 재확인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의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인 사드(THAAD)를 주한미군에 배치하는 문제와 관련해 한국 정부는 19일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미국의 요청이 없었기 때문에 당국간 협의도 없었고, 따라서 결정된 바도 없다”는 겁니다.
이는 중국 정부가 사드 배치 문제를 놓고 최근 강하게 반발함에 따라 한국 정부가 이른바 ‘전략적 모호성’을 유지하기 힘든 상황이 된 것 아니냐는 추정이 쏟아져 나오는 가운데 한국 정부가 내놓은 공식 반응입니다.
한국의 국방부는 지난 12일 주한미군사령부가 발표한 입장자료의 내용에서 한 치의 상황 변화도 발생하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배치 장소를 놓고 구체적인 지명까지 거론되는 현재의 상황은 사실과 다르다고 지적했습니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 '미래에 가능한 배치를 대비해서 적절한 장소를 찾기 위해 비공식 조사를 진행하기는 했다, 하지만 배치 장소에 대한 결정은 내려진 바 없다'고 (주한미군사령부가) 발표한 바가 있습니다. 지금도 여기에서 진전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또한 김 대변인은 사드 문제를 놓고 한미 간 공식 협의가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는 보도 내용도 부인했습니다. 김 대변인은 “다음 달 중순 워싱턴에서 열릴 것으로 예정된 한미통합국방협의체 회의에서는 사드 문제가 의제로 포함되지 않았다”고 재확인했습니다.
하지만 한미 간 고위급 협의가 연이어 이뤄질 예정이어서 양측은 비공식 차원에서라도 사드 문제를 자연스럽게 논의하게 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봤습니다.
이달 말에는 마틴 뎀프시 미 합참의장이 한국을 찾을 예정이고, 애슈턴 카터 국방장관과 존 케리 국무장관도 다음 달 서울을 방문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편, 북한도 사드의 한반도 배치 문제와 관련해 각종 매체를 동원에 비난전에 나섰습니다. 조선중앙통신은 19일 논설에서 “사드의 한반도 배치가 북한의 군사적 위협을 빌미로 미국의 아시아태평양 지배를 강화하기 위한 포석”이라고 주장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