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미국은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를 한반도에 영구 배치할 가능성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정아름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프랭크 로즈 미국 국무부 군축 검증 이행 담당 차관보는 19일 워싱턴의 민간단체인 한미연구소(ICAS)가 연방하원에서 개최한 토론회에 참석해 한국에서 사드의 한반도 배치에 대한 논란이 많다는 것을 알고 있다면서, 미국은 한반도에 사드 포대의 영구 주둔을 고려하고는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어 최종 결정은 하지 않았고 한국 정부와 공식적인 협의를 하지 않았다고 덧붙였습니다.
로즈 차관보 : 미국은 사드의 영구적인 한반도 배치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에 대해 아직 결정한 바가 없습니다. We are considering the permanent stationing of a THAAD unit on the Korean Peninsula. But We have not made a final decision..
하지만 로즈 차관보는 “사드가 한국에서 가동된다면 전적으로 북한의 중·단거리 미사일에 대처할 방어용 무기체계가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사드 한반도 배치는 북한의 사거리 연장 스커드와 노동 탄도미사일로부터 한국을 방어하는 데 중요하다는 설명입니다.
로즈 차관보는 이어 북한의 많은 도발적인 미사일 시험은 동해를 넘어가 큰 긴장을 야기했다면서, 북한 미사일은 한국뿐만 아니라 일본 등 주변국에도 위협이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로즈 차관보 : 북한 미사일 개발은 한국 뿐만 아니라 일본, 그리고 유사시에 대비해 미국이 한반도에 배치하는 군사력에도 명백히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
그는 나아가 북한의 이러한 도발적인 미사일과 핵실험, 그리고 공식적인 행동과 발언들은 북한이 미국을 탄도 미사일로 위협하려는 것임이 분명하다고 전했습니다.
따라서 미국이 다른 국가들과 긴밀히 협력해 함께 북한의 탄도 미사일 개발에 대응한 체계를 공고히 해나가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로즈 차관보는 이어 미국이 조기경보레이더를 일본에 배치하는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이미 사드 레이더 역량을 구축해 놓은 만큼, 한반도에 두 번째 사드 포대를 주둔시킨다고 해도 전략적 상황이 근본적으로 바뀌는 건 아니라고 덧붙였습니다.
그는 이어 토론회가 끝난 뒤 기자들에게 “사드 배치 가능성을 고려 중” 이라는 발언에 대해 “최종 결정을 하지는 않았지만, 미국 정부가 이 문제를 신중히 검토 중”이라는 의미라고 재확인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