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국방부 “사드 4기 임시배치 완료…중국엔 사전 통보”

0:00 / 0:00

앵커 : 북한의 6차 핵실험으로 한반도의 긴장이 더욱 고조된 가운데 경북 성주의 주한미군 사드 기지에 잔여 발사대 4기와 관련 장비가 반입됐습니다. 이로써 성주 기지의 사드 체계는 1개 포대 장비를 완비해 정상적으로 가동할 수 있게 됐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국방부는 7일 경북 성주의 주한미군 사드 기지에 잔여 발사대 4기의 반입을 완료했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송영무 국방부 장관: 고도화되고 있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으로부터 국민 여러분들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방어조치의 일환으로 부득이하게 결정하여 추진한 것입니다.

발사대 4기의 추가 반입으로 포대의 온전한 모습을 갖추면서 주한미군은 정상적인 작전운용을 위한 후속 작업에 들어갔습니다. 사드 1개 포대는 레이더 1기와 발사대 6기로 구성돼 있습니다.

국방부는 주한미군의 내부 절차가 완료되는 대로 사드의 작전운용이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습니다.국방부는 사드 배치에 반발하고 있는 중국에 대해선 “안보적 우려에 대한 해소 필요성을 인식하고 중국 측에 이미 사전 통보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중국 정부는 6일 김장수 주중 한국 대사를 불러 공식 항의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겅솽(耿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기자회견에서 “관련 행동에 엄중한 우려를 표명한다”며 “한미가 중국 등 지역 국가의 안전 이익과 우려를 존중해 즉각 사드 배치 과정을 중단하고 설비를 철수하기를 강력히 촉구한다”고 말했습니다.

중국의 보복 강화 가능성과 관련해 한국의 외교부는 “섣불리 예단하지 않고 관련 동향을 면밀히 주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조준혁 외교부 대변인: 북한 핵·미사일 문제가 해결되면 자연스럽게 해결될 수 있는 만큼 정부로서는 상호 이해 제고를 위한 적극적 소통 노력과 함께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양국 간 협력을 강화해 나가고자 합니다.

한편 사드 발사대와 장비가 성주 기지로 반입되는 과정에서 성주와 인근 김천 주민들이 몰려와 경찰과 적잖은 충돌이 있었습니다.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은 7일 오후 정부의 입장을 발표하면서 주민들의 이해를 거듭 부탁했습니다.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 앞으로 정부는 성주 김천지역 주민들과 진정성 있게 소통하면서 사드 배치로 인한 지역 주민들의 상처를 보듬고 지역이 한층 더 발전할 수 있도록 각별한 관심과 정책적 지원 노력을 적극 기울여 나가겠습니다.

이낙현 국무총리도 이날 오전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사드 배치의 불가피성을 설명하고 “사드 배치로 영향을 받게 된 지역 주민들의 불편 등을 감안해 해당 지역에 대한 지원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