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중국 옌볜 자치주 정부가 중국인들에게 북한의 라선과 회령 지역을 방문하지 말라고 권고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 평양에 있는 영국 대사관은 북한 전문 관광 회사들에 북한으로 가는 모든 관광객을 반드시 등록시키라고 당부하고 나섰습니다. 정아름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 관광을 전문으로 취급하는 베이징의 한 여행사는 9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두만강 유역의 옌볜 자치주 당국이 주민들에게 북한의 라선 지역과 회령을 방문하지 말라고 당부했다고 전했습니다. 지난 9일 랴오닝성 단둥 당국이 북한 단체관광을 잠정 중단한 직후 이뤄진 조치입니다.
여행사 관계자 : 옌볜 자치주 정부는 중국인들이 북한의 라선과 회령을 가지 않도록 권고했습니다.
특히, 일각에서는 중국 (무역) 회사들이 중국 당국으로부터 북한 특히, 라선 지역을 방문하지 말라고 권고를 받았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따라서 옌볜지역 중국 여행사들은 육로를 통한 중국인 대상 북한 관광객 모집을 중단하고 있습니다. 옌지의 한 여행사 관계자는 관계 당국으로부터 북한 관광을 잠정 중단한다는 통보를 받아, 오는 18일부터 일정이 잡혀 있는 관광 일정을 취소한다고 전했습니다.
이 밖에도, 평양 주재 영국 대사관은 모든 북한 전문 여행사들에게 직접 연락을 취해, 북한을 방문하는 모든 관광객을 공식 등록하라고 권고하고 (advising on registering all nationals going to DPRK)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러한 북한 관광 제한 조치들은 북한의 도발 위협으로 한반도 긴장이 급격히 고조되고 있는 것과 무관치 않은 조치로 보입니다.
하지만 중국인들의 북한 관광의 취소나 잠정 중단은 중국 여행사와 중국 시 관계 당국의 결정이며, 북한 관광 총국(National Tourism Administration)과는 무관한 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북한 관광 상품을 판매하는 다른 여행사 관계자는 10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9, 10일 양일간 북한의 관광 총국과 직접 연락을 했으며, 외국인 관광객의 북한 방문에 전혀 영향이 없다”라는 확인을 받았다며 이같이 전했습니다.
또, 베이징과 미국에 기반한 북한 관광 전문 여행사인 ‘고려여행사’, ‘우리투어’ 등 북한 관광 전문 여행사들은 10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현재 북한 관광 일정을 취소할 방침이 없다고 확인했습니다.
이들 여행사는 지난 9일에도 그리고 오는 10, 11, 12 일에도 한 그룹 당 20명 이상의 외국인 관광객들이 북한을 방문한다면서 이같이 전했습니다.
베이징에 있는 한 북한 전문 여행사는 10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 관계 당국자와 중국 당국과 방금 연락해 확인했다면서, 베이징으로부터 출발하는 외국인 관광객들의 북한 여행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확인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