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의 문재인 새 대통령이 북한과 대화에 나서는 것을 꺼리진 않지만 반드시 적절한 조건 하에서 대화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12일 미국 NBC방송에 출연해 한국의 문재인 신임 대통령이 전임 대통령들에 비해 북한과의 대화에 열린 입장이라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남북대화는 반드시 적절한 상황에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 문재인 대통령은 (대북)논의에 더 열린 입장입니다. 대화를 반대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그것은 적절한 상황에서 이뤄져야 합니다. (He's more open to discussion. I don't mind discussion. But it's under certain circumstances.)
이같은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북한이 핵과 미사일 개발을 포기하려는 의지가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남북대화가 이뤄지는 것을 반대한다는 뜻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같은 발언은 문재인 한국 대통령이 대북대화에 열린 입장을 가지고 있어 미국의 현 대북압박 기조와 차이가 있는데 이 때문에 미국의 현 대북정책 기조에 변화가 있을 수 있느냐는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나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적절한 대화 재개 상황이 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그 질문에 대한 답변은 한, 두달 이후 더 잘 할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I could probably give you a much better answer to that in a month or two months. We're going to see what happens.)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그 동안 중국의 강력한 대북 압박 혹은 이를 통한 북한의 태도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나타냈다는 분석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재 북한의 상황은 한국과 일본, 중국, 또 전 세계에도 매우 매우(very, very) 위험한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불행하게도 현재 자신의 대통령 임기에 이런 상황이 발생했지만 자신의 행정부, 즉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북한 핵문제를 매우 잘, 매우 단호하게(very well, very firmly) 다루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의 핵문제는 오바마 행정부 등 전임 미국 정권에서 해결했어야 할 문제라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미국은 중국 정부가 이번 주말 베이징에서 열리는 ‘일대일로 국제협력 정상포럼’에 북한 대표단을 초청한 데 대해 항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로이터통신은 12일 익명의 복수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주재 미국 대사관 측이 중국 외교부에 외교 통지문(diplomatic note)을 통해 이같은 입장을 전달했다고 전했습니다.
중국 당국의 북한 대표단 초청은 전 세계가 핵과 미사일 실험을 일삼는 북한에 대해 압박을 가하려고 애쓰는 시점에서 북한에 잘못된 메시지를 줄 수 있다는 게 그 통지문의 내용입니다.
이에 대해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애나 리치-알렌 대변인은 미국은 북한이 비핵화에 대한 진정성 있는 대화에 복귀하도록 중국이 북한을 압박하길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